김태흠 "갈등 유발 그만..거시적으로 판단하자"
홍성 이상근 의원 주장에 예산 주진하 의원 '발끈'
서해복선전철이 오는 10월 개통할 예정인 가운데, 역사 명칭을 두고 홍성과 예산 간 불필요한 신경전이 또 다시 수면 위로 올랐다.
가칭 ‘충남도청역’으로 불리는 이 역 명칭에 국민의힘 이상근 도의원(홍성)과 주진하 의원(예산)이 각각 홍성과 예산을 추가해야 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사실 양 지자체의 역명을 둘러싼 갈등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역 신설이 결정되던 2021년부터 꾸준히 제기됐던 논란이다.
장기적으로 홍성과 예산의 통합이 거론되는 시점에 정치권에서 지역주의를 내세우며 역명으로 갈등을 일으키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다.
이 의원은 28일 오전 도의회 본회의에서 김태흠 지사를 향한 도정질의를 통해 “홍성 군민의 염원인 ‘충남도청 홍성역’으로 개정하는 것에 대해 지사의 생각이 어떠한가”라며 “서해복선전철의 시발점과 도착지는 홍성역”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우리 의원들께서 갈등을 유발하는 (사안은) 가급적 (발언을 안 했으면 좋겠다)”며 “충남도 입장은 거시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예산 입장에서 볼 때 삽교역(충남도청역)을 만드는 데 예산군이 재정을 투입한다. 그런 상황에서 그걸 어떻게 예산에서 받아들일 수 있겠나”라며 “서로 받아들일 수 있는 사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 2021년 충남도청역 신설이 결정될 때 충남도와 예산군이 지방비를 투입하기로 합의했고, 홍성군은 역 신설에 부정적 기류가 팽배했던 당시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역 신설을 적극적으로 주도했던 것도 예산군이다. 내포신도시 정주여건 개선과 서해선이 지나는 도내 모든 시·군에 정차역이 있던 것과 달리 에산군만 유일하게 정차역이 없어 소외감 해소 등 여러 이해관계가 깔려있던 사업이다.
이런 과거에도 불구하고, ‘충남도청 홍성예산역’도 아닌, 홍성군만을 부각하는 명칭으로 변경하자는 주장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말을 에둘러 한 것이다.
김 지사는 “충남도청은 홍성과 예산의 가운데 세워졌다. 도청 건물은 홍성군 주소를 사용하고, 도의회 건물은 예산군 주소를 쓴다. 내포신도시로서 충남 균형발전을 위해서 그런 것”이라며 “어떻게 해서든 서로 상생하는 방향으로 가야하는 데 (역명으로) 갈등을 촉발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에 이 의원은 “지사님은 15개 시·군을 아우르시겠지만 저는 홍성의 일꾼으로서 홍성 군민의 염원에 대해 알리려는 것”이라며 “지사께서 국토부에 건의할 수 있는 힘을 가진 분이라 말씀드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이 발언이 마무리되자 질의를 듣고 있던 주 의원은 불쾌감을 드러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