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군, 화력기 지역 산업 의존도 높아
도, 관련 TF 구성해 선제 대응 주력

김태흠 충남지사가 27일 열린 실국원장회의에서 단계별로 폐지될 '태안석탄화력발전소'와 관련해 지난 민선7기 도정을 비판했다. 지역 경제 위축은 불보듯 뻔한 상황에서 대책 없이 폐지만 발표했다는 이유에서다. 김다소미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 27일 열린 실국원장회의에서 단계별로 폐지될 '태안석탄화력발전소'와 관련해 지난 민선7기 도정을 비판했다. 지역 경제 위축은 불보듯 뻔한 상황에서 대책 없이 폐지만 발표했다는 이유에서다. 김다소미 기자. 

[내포=디트뉴스 김다소미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 연도별 폐지될 예정인 ‘태안 석탄화력발전소’와 관련해 민선7기 도정을 비판했다. 지역경제 위축 등 폐지가 불러올 부작용에 대한 대책 없이 무작정 폐지만 발표했다는 이유에서다.

김 지사는 27일 오전 도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실국원장회의에서 이 같이 지적하며 향후 대안 마련에 주력할 것을 당부했다.

안호 산업경제실장은 앞서 ‘태안석탄화력발전소 폐지 대책 계획’을 보고하는 자리에서 “단계별 폐지 계획에 따라 태안 화력 10기 중 6기가 폐지될 예정이며, 내년 1월에 당장 2기가 폐지된다”며 “태안은 화력 지역 산업 의존도가 높아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지난 민선7기 때 지역 경제, 일자리 감축, 대체 건설 등을 고민하지 않고 무조건 폐지만 발표했다. 우리가 보완하고 개선해서 대체 건설로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조금씩 경제적 지원하는 방식은 적절치 않다. 지역경제 위축 우려 부분은 대체 건설로 가야한다. 탈석탄 에너지 전환을 하더라도 탄소중립 등 충남 전력 생산량을 늘린는 방향으로 가려면 산자부의 전력 수급계획에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가 말하는 ‘대체건설’이란 발전소 타 지역 이전을 말한다. 현재 도는 2032년까지 태안에 있는 발전기 6기 중 5기를 경북 구미, 전남 여수, 충남 공주, 경기 용인 등으로 이전을 추진 중이다.

특히 전형식 정무부지사를 단장으로 한 TF를 구성하고 오는 9월까지 세부 대책을 확정을 비롯해, 예산 확보 및 제도개선에 나설 예정이다.

한편 발전소가 위치한 태안, 보령, 당진 지역은 폐지에 따른 인구감소, 경제 위축, 고용 감축 등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한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