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군, 화력기 지역 산업 의존도 높아
도, 관련 TF 구성해 선제 대응 주력
[내포=디트뉴스 김다소미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 연도별 폐지될 예정인 ‘태안 석탄화력발전소’와 관련해 민선7기 도정을 비판했다. 지역경제 위축 등 폐지가 불러올 부작용에 대한 대책 없이 무작정 폐지만 발표했다는 이유에서다.
김 지사는 27일 오전 도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실국원장회의에서 이 같이 지적하며 향후 대안 마련에 주력할 것을 당부했다.
안호 산업경제실장은 앞서 ‘태안석탄화력발전소 폐지 대책 계획’을 보고하는 자리에서 “단계별 폐지 계획에 따라 태안 화력 10기 중 6기가 폐지될 예정이며, 내년 1월에 당장 2기가 폐지된다”며 “태안은 화력 지역 산업 의존도가 높아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지난 민선7기 때 지역 경제, 일자리 감축, 대체 건설 등을 고민하지 않고 무조건 폐지만 발표했다. 우리가 보완하고 개선해서 대체 건설로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조금씩 경제적 지원하는 방식은 적절치 않다. 지역경제 위축 우려 부분은 대체 건설로 가야한다. 탈석탄 에너지 전환을 하더라도 탄소중립 등 충남 전력 생산량을 늘린는 방향으로 가려면 산자부의 전력 수급계획에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가 말하는 ‘대체건설’이란 발전소 타 지역 이전을 말한다. 현재 도는 2032년까지 태안에 있는 발전기 6기 중 5기를 경북 구미, 전남 여수, 충남 공주, 경기 용인 등으로 이전을 추진 중이다.
특히 전형식 정무부지사를 단장으로 한 TF를 구성하고 오는 9월까지 세부 대책을 확정을 비롯해, 예산 확보 및 제도개선에 나설 예정이다.
한편 발전소가 위치한 태안, 보령, 당진 지역은 폐지에 따른 인구감소, 경제 위축, 고용 감축 등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한다.
관련기사
- 서부발전 태안발전본부, 온실가스·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전국1위
- 태안군, 석탄발전소 폐쇄 에너지 전환 대책모색
- 태안군에 해상풍력이 간절한 이유는?
- 화력발전 집중 충남, 전기요금 할인 기대감↑
- 석탄화력 폐지 '직격탄'..충남도 "특별법 제정" 촉구
- 충남도, 22대 국회 첫날 '석탄화력 폐지 특별법' 제정 재시동
- OECD, 충남 ‘석탄화력발전소 폐지 지원’ 주목..정치권 후속 대응 시급
- 김태흠 지사 "석탄화력발전 특별법 22대 국회서 반드시 관철시킬 것"
- 화력발전소 대신 그린 에너지에 17조 쏟아붙는다
- 손실 75조 석탄화력 폐지 "신성장 이끌 녹색산업 지원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