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화력 폐쇄에 따른 새 먹거리 창출
탄소중립·기후위기 대응 필연적 선택
지리적·지역적 조건 최적합 풍력단지
군민 ‘신바람 연금’ 매년 100만원 씩
[태안=최종암 기자] 충남 태안군이 태안화력발전소 폐쇄에 따른 새로운 먹거리 대책으로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한다. 탄소중립 기후위기 대응과 쇠퇴일로에 놓인 지역경제에 새바람을 일으켜 풍요로운 새 태안을 건설하기 위한 조치다.
태안군은 2032년 최종 폐쇄가 예고된 태안화력 대체에너지로 해상풍력을 선택했다.
정부의 신재생에너지(풍력, 태양광, 그린수소 등) 정책에 부합하기 위한 지역적 지리적 조건을 감안할 때 해상풍력만이 답이라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해상풍력을 운영하고 있는 지자체는 제주, 전북 부안·고창으로 태안군은 연평균 풍속 7.6m/s 이상을 유지해 부안·고창(6.0m/s 이상)보다 유리하다.
해상풍력은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태안화력폐쇄로 인구감소(직원가족포함 3천여명)문제를 해결하는데도 도움을 준다.
정의로운 에너지전환은 해상풍력뿐
태안군은 6일 군청 브리핑룸에서 ‘기후위기 대응 화력발전소 폐쇄에 따른 정의로운 에너지전환 우리군 정책’을 기치로 브리핑을 열고 해상풍력단지조성 추진과정과 앞으로의 계획을 설명했다.
브리핑에 따르면 태안화력발전소는 오는 2025년 12월부터 단계적으로 폐쇄돼 2032년 12월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충남도는 석탄화력발전소 폐쇄로 인한 고용 및 지역경제침체에 대응하고 대체에너지 전환을 위해 ‘정의로운 전환기금 활용사업’을 발굴·추진하고 있다.
이에 태안군은 지난해 1월부터 정의로운 전환기금 사업발굴추진 군민공모를 비롯한 각종 협의체를 구성하고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석탄화력발전소 폐지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도 정부에 건의했다.
만리포, 학암포 등 태안군 앞바다 20km이상에 조성될 해상풍력 발전사업은 2018년 착수 빠르면 2027년 준공된다.
총 사업비는 12조5천억원(민자)이 투자되며, 5개단지(태안 504MW, 가의 400MW, 서해 495MW, 안면 400MW, 학암포 160MW) 328.04㎢에서 1.96GW의 에너지를 생산할 예정이다.
태안군민에 신바람연금 연 100만원 지급
단지가 조성돼 정상화되면 태안군민들은 가세로 태안군수가 약속한 대로 매년 100만원 가량의 신바람 연금을 받게 된다.
태안군은 올 11월 풍력발전집적화단지 지정을 신청할 방침이다. 집적화단지로 지정될 경우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발전단지에 이어 두 번째 성과를 기록하게 된다.
군은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위해 태안에 기반을 둔 서부발전의 기반시설을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태안화력 폐쇄에 따른 대체산업이 절실한 서부발전 역시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상황에서 태안군 해상풍력과의 연계는 적절한 선택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주민수용성과 관련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민관협의체도 구성한다.
군은 어민들을 중심으로 한 협의체위원을 40명에서 20명으로 압축, 올 말부터 본격가동 할 방침이다.
박동규 태안군 경제과장은 브리핑을 통해 ▲군민모두에게 돌아갈 수 있는 이익기반 조성 ▲주민복지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사업활용 ▲지역인재 육성 ▲지역기업의 전문성 및 경쟁력 강화 ▲맞춤형 복지증대사업 활용 ▲환경 및 자원 보존 ▲재생에너지 설비 잉여전기 활용 그린수소 발생지 발돋움 기반연계 등의 기대효과를 제시했다.
한편, 태안군은 해상풍력을 함께 추진하고 있는 인근 보령시와 면밀하고 적극적인 협조로 상생방안을 공유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