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530만㎡ 충남 천안·홍성 653㎡ 충북 오송 99만㎡
15일 尹 비상경제민생회의 주재 “첨단산업, 균형발전과 직결”
국토부 공모...자치단체 18개 접수, 최종 15개 후보지 결정
[김재중 · 류재민 기자] 윤석열 정부 ‘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계획’에 따라 충청권에도 4개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될 예정이다. 대전, 충남 천안과 홍성, 충북 오송 등 4곳에 약 1282만㎡(약388만평) 규모 국가산업단지 조성계획이 확정됐다.
15일 국토교통부는 반도체와 미래차, 우주항공 분야 등 미래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전국에 총 4076만㎡(약 1200만평) 규모의 15개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제시된 내용이다.
국토부가 제시한 ‘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계획’에 따르면, 새롭게 조성되는 15개 국가산업단지 중 충청권에 4개가 포함됐다. 충청권 4개 산업단지 면적은 15개 신규 국가산업단지 면적의 31.4%에 이른다.
지역별로 보면 대전에 나노·반도체와 우주항공분야 530만㎡, 충남 천안에 미래모빌리티, 반도체 분야 417만㎡, 충남 홍성에 수소·미래차, 2차 전지 분야 236만㎡, 충북 오송에 철도분야 99만㎡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된다.
앞서 국토부는 공모를 통해 전국 자치단체로부터 18개 국가산업단지 예정지를 접수받은 뒤, 전문가평가와 산업입지정책심의회 심의를 통해 15개를 최종 확정했다. 경기도 용인의 반도체분야 710만㎡를 제외하면 비수도권에서 14개를 선정한 셈이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은 청와대 영빈관에서 주재한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우주, 미래차, 수소 등 첨단 산업을 키우기 위해 지방에 3300만㎡, 총 1000만평이 넘는 규모의 14개 국가 첨단산업단지를 새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첨단 산업의 발전은 전체 경제 성장과도 직결되지만, 지역 균형 발전과도 직결되는 것”이라며 “저는 지난 대선 때에도 지방균형발전의 기조를 지방이 스스로 비교 우위 분야를 선택하면 중앙정부는 이를 확실하게 지원하겠다고 말씀드렸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이번 국가 첨단 산업단지 조성 계획 역시 지역이 주도해 지역이 비교 우위에 있다고 판단되는 최우선 과제를 중앙정부에 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역 스스로 비교 우위가 있다고 판단되는 분야를 키워나갈 수 있도록 토지 이용 규제를 풀고 국가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