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핵심 보직 발표, 수도권·영남·강원 ‘편중’
내년 4월 총선 앞두고 지역 정치력 약화 ‘우려’

국민의힘 새 지도부에 충청 출신 인사들이 포함되지 않으면서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력 약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사진: 13일 열린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의 모습. 국민의힘 홈페이지.
국민의힘 새 지도부에 충청 출신 인사들이 포함되지 않으면서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력 약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사진: 13일 열린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의 모습. 국민의힘 홈페이지.

[류재민 기자] 국민의힘 새 지도부에 충청 출신 인사들이 포함되지 않으면서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력 약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13일 발표한 김기현 대표 지도부 당직 인선에도 지역 인사들은 한 명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반대급부로 단체장 역할론만 부각되는 모양새다. 

김기현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 회의를 열고 주요 당직자 인선을 확정했다. 전반적으로 친윤계 초·재선 의원들이 핵심 보직을 맡으며 총선 정국에 전면 배치됐다.

당의 살림을 총괄하는 사무총장에는 이철규 의원(재선. 강원 동해·태백·삼척·정선)이 선임됐다. 이 사무총장은 친윤(친 윤석열)계 모임인 ‘국민공감’ 총괄간사를 맡고 있다.

사무총장을 보좌하는 전략기획부총장과 조직부총장은 박성민(초선. 울산 중구)·배현진(초선. 서울 송파을) 의원이, 지명직 최고위원에는 강대식 의원(초선. 대구 동을)이 각각 임명됐다. 

또 수석대변인은 초선 그룹인 강민국(경남 진주을)·유상범(강원 홍천·횡성·영월·평창) 의원이 맡았다. 대변인은 원외 인사인 윤희석 전 서울 강동갑 당협위원장, 김예령 전 대선 선대위 대변인, 김민수 전 경기 성남 분당을 당협위원장 등 3명이다. 당 대표 비서실장에는 구자근 의원(초선. 경북 구미갑)이 임명됐다. 

남은 당직 인선도 발탁 가능성 희박
"결국 김태흠·이장우·김영환이 정치력 발휘해야"

지역별로 보면 서울·경기 4명(배현진·윤희석·김예령·김민수), 영남 4명(박성민·강대식·강민국·구자근), 강원 2명(이철규·유상범)이며, 충청과 호남 출신 인사는 없었다. 

김 대표는 최고위원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현안에) 정통한 능력을 갖춘 분, 대통합의 모양에 맞는 인물을 선정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향후 당직 인사에서도 두 가지 원칙이 동시에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새 지도부 임기는 2년으로, 내년 4월 총선을 지휘하기 때문에 지역 안배는 특히 중요하다. 그러나 이날 발표된 핵심 보직에 충청권 인사들이 빠졌고, 여의도연구원장 등 남은 당직 인선에도 발탁 가능성은 희박할 것으로 관측된다. 

총선을 1년여 앞둔 시점에 사실상 주요 현안 등 지역의 목소리가 중앙당에 제대로 전달하기 어려운 구조적 환경이 조성된 셈. 지역 여권에서는 지난 대선에서 ‘충청의 아들’을 자처한 윤석열 대통령이 정작 충청권에 대한 배려가 약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부에서는 중진급 국회의원 출신인 김태흠 충남지사(3선), 이장우 대전시장(재선), 김영환 충북지사(4선) 등 광역단체장이 전면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 만들어졌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희성 단국대 교수는 이날 <디트뉴스>와 통화에서 “전당대회 당시 충청권 합동연설회 때도 ‘친윤 대 비윤’ 대립만 있었을 뿐, 지역 이슈를 크게 이야기한 후보가 없었다. 김기현 지도부나 차기 원내지도부는 지역 안배보다 총선 승리에 집중한 ‘총선 추진단’ 성격에 가깝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결국은 정치적 중진급인 김태흠 충남지사, 이장우 대전시장, 김영환 충북지사 등 단체장들이 보다 정치력을 발휘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새 당 지도부를 초청해 만찬을 함께 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