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공공기관 이전 답보,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요원’
대전 방사청 이전 외 세종의사당 건립·충남 육사 이전 ‘차질’

윤석열 대통령이 후보 시절 충남 천안 터미널 앞에서 당원 지지자들과 함께 유세를 하고 있는 모습. 자료사진.
윤석열 대통령이 후보 시절 충남 천안 터미널 앞에서 당원 지지자들과 함께 유세를 하고 있는 모습. 자료사진.

[류재민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9일 당선 1주년을 맞았다. 윤 대통령은 지난 대선 당시 ‘충청의 아들’을 내세워 중원 표심 공략에 성공했지만, 지역공약 이행은 부진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대전과 충남은 혁신도시 지정 이후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 이전이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고, 세종시 역시 행정수도 완성 역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정부는 올해 예산에 국회 세종의사당 토지매입비를 한 푼도 책정하지 않았고, 국회 예산 심의에서 야당 주도로 350억을 증액했다. 

이 역시 국회 규칙 제정이 늦어지면서 건립 일정에 차질을 빚고 있는 실정. 윤 대통령이 격주로 열겠다고 약속한 세종시 국무회의도 지금까지 3번에 그치고 있다. 

대전의 경우 경남·전남과 우주산업 클러스터 3축에 들어갔지만, 핵심 기지인 우주항공청이 경남 사천으로 갈 것으로 보여 ‘과학 수도’라는 명성이 무색해질 전망이다. 

충남은 국립 경찰병원 분원 아산 입지가 확정됐지만, 지역공약이 공모사업으로 전환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육군사관학교 논산 이전은 국방부와 육사 측 반대에 부딪혀 요원한 상황이다. 

따라서 지역 정치권이 내년 총선을 앞두고 대통령실에 지역공약 이행과 현안 해결을 촉구하는 정치력을 발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국민의힘이 지난 8일 전당대회를 통해 새 지도부를 선출한 만큼, 충청권 현안 해결에 힘을 실어야 한다는 의견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최호택 배재대 교수(행정학과)는 <디트뉴스>와 통화에서 “방위사업청 대전 이전 같은 성과도 있었지만, ‘충청이 아들’이라고 했던 윤 대통령 공약에 지역민들 기대가 많기 때문에 부족한 부분에 아쉬움이 더 커 보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당 지도부가 서울과 영남 출신들로 꾸려졌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충청권이 소외 받을 수 있다”며 “한 달 뒤 치러지는 원내대표 경선과 사무총장 임명에 있어 충청권 인사가 빠진다면 내년 총선에서 심판받을 수밖에 없지 않겠나”라고 덧붙였다.  

한편 윤 대통령은 당선 1주년 메시지 등 자축 대신 민생 행보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