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인도·인도네시아·일본·독일 5곳 대상 추진
올해 상반기 인사 반영 계획 “관리·감독 강화 목적”
도청 공무원 파견에 전문성 결여 등 부작용 우려도

충남도가 올해부터 도 해외 통상사무소 소장에 도청 공무원을 파견할 전망이다. 공무원 파견으로 인사적체를 해결하는 동시에 민선8기 통상사무소를 새롭게 꾸리겠다는 김태흠 지사 의중을 반영한 조치로 해석된다. 자료사진.
충남도가 올해부터 도 해외 통상사무소 소장에 도청 공무원을 파견할 전망이다. 공무원 파견으로 인사적체를 해결하는 동시에 민선8기 통상사무소를 새롭게 꾸리겠다는 김태흠 지사 의중을 반영한 조치로 해석된다. 자료사진.

[황재돈 기자] 충남도가 올해부터 해외통상사무소를 ‘위탁’에서 ‘직접 운영’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민선8기 통상사무소 기능과 역할을 확대하겠다는 내부 방침 때문으로 해석된다. 

윤주영 투자통상정책관은 27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실국원장회의에서 김태흠 지사에게 ‘해외사무소 추가설치와 기능 다변화를 위한 추진방향’을 보고했다.

윤 정책관은 “올해 일본과 독일에 이어 내년 미국과 중국 사무소를 추가 설치하겠다”며 “운영 방식을 위탁에서 도가 직접 운영하는 방식으로 바꿔 통상사무소 역할을 기존 수출지원 중심에서 외자유치와 국제교류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도는 베트남(하노이)과 인도네시아(자카르타), 인도(뉴델리) 통상사무소 3곳을 운영 중이며, 올해 일본(도쿄)과 독일(프랑크푸르트) 사무소를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베트남 사무소장은 현재 공석이다.

보고 자료에 따르면, 도는 올해 통상사무소 직접 운영을 위해 5~6급 공무원을 사무소장으로 파견할 계획이다. 일본 사무소는 오는 5월, 독일과 기존 사무소 3곳은 오는 7월 파견한다는 구상이다.

다만, 이를 위해 3월 도의회 임시회에 동의안을 제출한 뒤 4월 공무원 선발과정을 거치는 절차가 필요하다. 

도는 최근 해외통상사무소 위탁 기관인 충남경제진흥원에 ‘해외통상사무소 운영 관련 협조요청’을 보냈다. 취재결과, 인도와 인도네시아 통상사무소 계약기간을 기존 1년이 아닌, 오는 7월 31일까지 계약토록 요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공무원을 상반기 인사(8월 1일자) 때 사무소장으로 파견하려는 목적으로 보인다.  

김 지사 "통상사무소 재구성, 공무원 파견" 주문
현지 사정 모르는 공무원 파견에 우려도


이 같은 계획은 공무원 파견으로 인사적체 해결과 동시에 민선8기 통상사무소를 새롭게 꾸리겠다는 김태흠 지사 의중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앞서 김 지사는 지난 13일 실국원장회의에서 “해외통상사무소와 투자통상정책관실의 역할, 정책과제, 추진 방향을 시대적 흐름에 따라 재구성 하라”며 “과거 현지인을 사무소장으로 임명하던 것과 달리 도청 직원들이 파견을 갈 수 있도록 하라”고 주문했다.

지난달 도청 과장 간담회에서도 “교육인원과 해외통상사무소 파견, 해외 유학 등을 통해 인재풀을 유연하게 활용해 인사적체를 해결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일각에선 전문성이 담보되지 않은 공무원을 소장으로 발령하는 것에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도청 공무원은 상대적으로 현지 사정을 모르는 데다, 기존 소장의 인적 네트워크마저 상실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임민호 도 통상지원팀장은 “그동안 현지 직원을 채용하다보니 관리·감독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어 왔다”며 “공무원 파견으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기존 현지 소장은 부소장으로 채용해 지역네트워크를 유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각 해외 통상사무소별 역할 재정립도 추진 중이다. 기존 베트남·인도·인도네시아 사무소는 도내 수출기업의 판로 지원을 주 목표로 하고, 일본은 통상 교류, 독일은 투자유치 역할을 주로 담당할 예정이다. 일본은 올해 5월, 독일은 10월 각각 개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