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전준위 결정 수정안 냈다 갈등 직면 뒤 ‘철회’
이상민·김종민·장철민 의원 등 ‘쓴소리’ 잇따라
[류재민 기자] 더불어민주당 충청권 국회의원들이 8·28 전당대회 룰을 두고 불거진 내홍에 작심 비판하고 나섰다.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전준위) 결정에 수정안을 냈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내부 반발에 물러서긴 했지만, 후유증은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
7일 민주당에 따르면 전날(6일) 당무위원회를 열어 당대표 예비 경선에서 여론조사 30%를 반영키로 한 전준위 안을 그대로 의결했다.
당대표 경선 ‘중앙위 70%+여조 30%’ 결정
최고위원 ‘권역별 투표제도’ 없던 일로
앞서 전준위는 당 대표 경선 컷오프 과정에 국민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며 중앙위원회 70%에 더해 여론조사 30%를 반영했다. 이에 비대위는 기존대로 중앙위 100%로 반영해야 한다며 수정안을 냈다. 그러나 당내 반발이 커지자 전준위 안으로 번복했다.
비대위는 또 최고위원 선거에서 1인 2표 중 1표를 권역별로 할당하도록 한 ‘권역별 투표 제도’ 도입을 추진했다 철회했다. 비대위 결정에 반발하며 사퇴 의사를 밝혔던 안규백 전준위원장은 당무에 복귀하며 내부 갈등은 일단락된 분위기다.
다만, 충청권 의원들은 일련의 과정이 혁신을 바라는 국민 정서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쓴소리를 내고 있다. 일부 의원은 이재명 의원(초선. 인천 계양을)의 조속한 당권 출마 선언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상민 “원칙도 없고, 뭐가 달라졌나”
“스스로 한심하고 앞날 훤히 내다보여”
이상민 의원(5선. 대전 유성을)은 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전대 룰 소동 관련해 “한심하고 앞날이 걱정된다”고 작심 비판했다. “전준위, 비대위, 당무위에서의 번복 또 번복 과정을 거치면서 일관된 원칙도 없고, 특정인 그룹이 다수의 힘으로 압박에 나섰으며, 결국 결정된 것도 대표와 최고위원 결정 기준을 2중적으로 달리했는데 그 배경이 매우 석연치 않다”고 도 했다.
이 의원은 “이번 소동도 대충 넘어갈 것이고 마치 아무런 문제 없는 듯 가장된 몸짓을 보일 것”이라며 “작년 재보선, 대선, 지선 전후로 민주당이 뭐가 달라졌는지 의문과 함께 미래에 대한 깊은 회의가 든다. 스스로 한심하고 앞날이 훤히 내다 보인다”고 탄식했다.
김종민 “대의원마저 의원들에 의해 좌지우지”
“이재명 출마하면 둘로 갈라져 위기상황 될 것”
김종민 의원(재선. 충남 논산·계룡·금산) 역시 지난 6일 CBS라디오 ‘한판승부’에 출연해 전대 룰을 둘러싼 잡음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 “중요한 건 쟁점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인데 거의 반영이 되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김 의원은 “열성 당원들 중심으로 내부 결속을 강화하는 걸 목표로 할 것이냐, 국민 속으로 들어가 민심을 반영할 것이냐가 본질적인 쟁점”이라며 “그런데 대의원들마저 의원들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열성 지지자들로만 채워지다 보니 (의견 수렴의) 의미가 없어지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계속해서 “이재명의 민주당으로 가면 미래가 있다, 없다는 두 의견이 갈려 있다. (이 의원이) 당대표에 출마하면 완전히 갈라질 것”이라며 “두 의견이 전대에서 부딪칠 거고, 이재명 의원이 당대표가 돼도 당내에 선명하게 갈라설 거다. 그래서 민주당이 상당히 어려운 위기 상황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철민 “합리적 토론보다 소모적 논쟁되고 있어”
“이재명, 조속히 출마 선언하고 후보 토론해야”
장철민 의원(초선. 대전 동구)은 이재명 의원의 조속한 출마 선언을 요구했다. 장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전대가 합리적인 토론보다 소모적 논쟁이 되어가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장 의원은 “후보들의 목소리와 비전이 주목받아야 할 자리를 갈등이 대신 차지하고 있다”며 “(이재명)의원님이 하루라도 빨리 출전하셔서 후보들 사이 토론을 만들고, 당의 집단 지성이 작동하는 계기가 마련되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당무 사안에 의원들의 집단행동이 반복되면, 훗날 그 어느 때보다 더 배타적인 계파의 등장으로 평가받을지도 모른다”고 우려한 뒤 “이번 전대가 우리 당의 새로운 희망을 찾아가는 과정이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충청 출신으로 당권 도전에 나선 강훈식 의원(재선. 충남 아산을)은 전대 룰 결정과 관련해 당의 결정을 따르겠다는 입장이다. 강 의원은 6일 YTN 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출연해 “선수가 룰에 왈가왈부하는 것만큼 좋지 않은 모습은 없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국민 눈높이에서 보면 이건(룰) 관심이 별로 없다. ‘민주당 제대로 일하라’라는 게 국민 눈높이라고 보고, 후보로 뛰는 사람이 이래야 한다 저래야 한다는 말은 적절치 않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