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간 '긴급경영안정자금' 등 지원
고용위기 선제대응 지정 추가 추진

대산공단 모습. 디트뉴스DB. 
대산공단 모습. 디트뉴스DB. 

석유화학업계의 장기 불황에 흔들리던 충남 서산대산산업단지가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면서 지역경제 회복 발판이 마련됐다.

충남도와 서산시는 전방위적인 산업 경쟁력 제고 대응에 나설 방침이며 이번 지정과 별도로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는 전남 여수, 울산과 함께 국내 3대 석유화학단지이며, 에틸렌 생산량 국내 2위 등 국가기간산업의 하나인 석유화학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안호 도 산업경제실장은 28일 오전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서산에는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 지정 기간인 2년 간 긴급경영안정자금과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 대출 만기 연장 및 원금 상환 등을 지원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긴급경영안정자금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10억 원, 소상공인진흥공단 7000만 원이 지원된다.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은 대기업의 경우 기존 4~9%에서 12%로, 중견기업은 6~12%에서 20%로, 중소기업은 8~15%에서 25%로 우대된다.

안호 도 산업경제실장. 자료사진. 기사와 무관. 디트뉴스DB. 
안호 도 산업경제실장. 자료사진. 기사와 무관. 디트뉴스DB. 

특히 600억 원 규모의 지방교부세도 추가 배정받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안 실장은 “중국과 중동의 대규모 생산시설 증설로 세계적인 공급 과잉에 국내 관련 산업 전반이 어렵다”며 “최근 지속된 업계 위기 극복 및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미래형 신산업 구조 개편의 기회가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실제 지난해 대산석유화학단지의 석유화학기업 공장 가동률은 74.3%로 3대 단지 중 최하를 기록했고 올해 2분기에는 68.0%로 더욱 하락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서산시 석유화학기업의 국세 납부액은 22년 1조 4951억 원에서 지난해 1160억 원으로 급감(▲91.9%), 법인지방소득세 역시 22년 429억 원에서 지난해 32억 원으로 급감(▲92.5%)했으며, 취업자 수 및 고용률 지속 하락, 지역 내 폐업률 상승 등 지역경제 침체로 이어지는 상황이다.

안 실장은 “도와 서산시는 2조 6000억 원 규모의 5개 분야 26개 사업을 발굴해 정부예산을 확보할 계획이다. 올해 2월 지속가능항공유(SAF) 종합실증센터를 유치해 신산업 성장동력 기반을 다지고 있으며, 탄소중립으로의 개편을 위한 탄소중립 실증지원센터도 구축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국가산업단지 지정, 에탄 터미널 조성 등을 통해 석유화학 산업의 고부가가치 산업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