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정과제 선정, 범시민 참여 제안
“유치전 뒤쳐져, 나태 행정” 작심 비판
민선 8기 대전시가 정부 2차 공공기관 이전 준비에 소홀하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장철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이전 공공기관 대전 범시민 유치위원회(가칭) 구성을 제안하고 나선 이유다.
장 의원은 26일 대전시의회 기자실을 찾아 “이재명 정부 출범으로 공공기관 이전 골든타임이 돌아왔다”며 “이 시장의 나태한 행정만 믿고 있다 기회를 놓칠 수 없어 범시민 유치위원회 구성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앞서 이재명 정부는 51번째 국정과제로 ‘2차 공공기관 이전 등 균형성장 거점 육성’을 선정했다. 올해 하반기 이전 대상 공공기관을 전수조사한 뒤 연구, 공론화 과정 등을 거쳐 내년 로드맵을 수립할 방침이다. 임기 내 청사 임차, 공동청사 건설 등을 목표로 세웠다.
장 의원은 “이재명 정부는 2차 공공기관 이전 착수를 국정과제로 명확히 밝혔으나, 이 시장은 공공기관 이전에 사실상 손을 놓았다”며 “공공기관 이전 부지조차 지정하지 않았고, 인근 충남 혁신도시와 비교해도 한참 뒤쳐졌다. 메가충청스퀘어 조감도 하나 그려놓고 모든 준비 소홀의 알리바이로 삼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장 의원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어렵게 대전으로 유치한 기상산업기술원의 경우 일부만 이전한 상태로 완전 이전 부지를 애타게 찾고 있다”며 “오겠다는 기관도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게 대전시의 현실”이라고도 지적했다.
지난 윤석열 정부 시기 공공기관 2차 이전은 사실상 중단됐다. 그동안 지자체 차원의 유치전은 광역 단위에서 기초 단위까지 확산하며 달아오른 상황. 대전은 타 시·도와 달리 유치 목표 기관 리스트를 공개하지 않고 있고, 개별 접촉을 통해 물밑 작업을 이어왔다.
시가 내세운 주력 유치 분야는 철도교통, 특허지식, 중소벤처산업, 과학기술 등이다. 공간은 도심융합특구 역세권 동광장 내 49층 규모의 메가충청스퀘어, 연축지구 등이다.
장 의원은 “이미 다른 지역은 발빠르게 나서고 있다. 대전도 여야, 지자체장과 국회의원, 민과 관이 힘을 합쳐야 할 때”라며 “시민 열망을 함께 모아야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설득력을 갖춘 유치 리스트를 확정하고, 지자체 차원의 노력을 보여줘야 할 필요가 있다”며 "이 시장은 최근 혁신도시 한폭판에 109평 규모의 자택을 새로 지었다. 국회의원 시절 배우자가 매입한 빌딩도 혁신도시 부지 안에 있는데, 이런 노력의 반이라도 공공기관 이전에 힘을 쏟았다면, 3년을 허송세월하진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