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 부족·열악한 처우 개선 거듭 촉구
2년 여 간 34명 퇴사, 파행 운영 지적

출처 :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KHMU) 선전홍보실장 페이스북 페이지.
출처 :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KHMU) 선전홍보실장 페이스북 페이지.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 노조가 공공성을 담보한 병원 운영을 촉구하며 첫 파업에 돌입했다. 인력 부족과 열악한 처우에 따른 파행적 병원 운영을 개선해달라는 요구다.

전국보건의료노조 대전세종충남공공어린이재활병원지부는 25일 무기한 파업을 시작했다. 간호사와 재활치료사, 의료기사, 치위생사 등 노조원 대부분(98명 중 77명)이 참여 중이다. 

지부에 따르면, 현재 병원 인력 정원은 124명이지만, 의사직과 파견직을 제외하고 총 8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2년 여 기간 동안 34명이 퇴사했고, 공백이 길어지면서 만성적인 파행 운영이 지속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지부 측은 “개원 당시 정해진 인원으로 운영되지 않으면서 열악한 처우가 지속됐고, 퇴사로 이어졌다. 시가 공공병원을 적자 병원으로 낙인찍고 국비나 운영비 지원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시가 정상 운영을 지원해야 공익을 위해 지어진 공공어린이병원이 원활히 운영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노조는 정근수당과 위험수당 신설 등 임금체계 개선안 등을 마련해 요구했으나, 대전시· 충남대병원 측과 접점을 찾지 못해 교섭이 결렬됐다.

노조는 향후 대전시 · 충남대병원 측과 추가 협상 가능성을 열어두고 파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반면, 시는 지방재정 한계를 언급하며 국비 지원을 촉구하고 있다. 개원 준비 때부터 인근 세종시와 충남도 측의 재정 분담을 요청했으나 수용되지 않았고, 첫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인 만큼 정부가 나서 책임감을 갖고 운영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시가 매년 35억~40억 원 수준의 적자를 부담하고 있으나 재정에 한계가 있다. 정근수당 도입은 타협안을 제안했지만 결렬됐다”며 “지속적으로 국비 요청을 하고 있고, 국내 첫 사례인만큼 정부 차원에서 책임감을 가지고 운영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