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첫 경선..이재명 88.15%, 김동연 7.54%, 김경수 4.31%

충청이 ‘아들’ 대신 ‘사위’를 택했다. 이재명 후보는 민주당 대선 첫 경선지인 충청권에서 90%에 달하는 표를 얻으며 ‘대세론’을 확인했다. 이 후보는 18일 충북 청주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충청권 합동연설회’에서 5만7057표, 88.15%를 득표했다. 김동연 후보는 4883표, 7.54%, 김경수 후보는 2790표, 4.31%를 각각 얻었다. 황재돈 기자. 
충청이 ‘아들’ 대신 ‘사위’를 택했다. 이재명 후보는 민주당 대선 첫 경선지인 충청권에서 90%에 달하는 표를 얻으며 ‘대세론’을 확인했다. 이 후보는 18일 충북 청주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충청권 합동연설회’에서 5만7057표, 88.15%를 득표했다. 김동연 후보는 4883표, 7.54%, 김경수 후보는 2790표, 4.31%를 각각 얻었다. ⓒ황재돈 기자. 

충청이 ‘아들’ 대신 ‘사위’를 택했다. 이재명 후보는 민주당 대선 첫 경선지인 충청권에서 90%에 달하는 표를 얻으며 ‘대세론’을 확인했다. 초반 압도적 승기를 잡으면서 이어질 경선에서도 기세를 이어갈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후보는 18일 충북 청주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충청권 합동연설회’에서 5만7057표, 88.15%를 득표했다. 김동연 후보는 4883표, 7.54%, 김경수 후보는 2790표, 4.31%를 각각 얻었다. 권리당원과 국민여론조사 결과를 50%씩 반영한 결과다. 

이 후보는 권리당원 유효투표 수 6만3460명 중 5만 5948표(88.16%)를 득표했다. 대의원 유효투표수 1270표 중 1109표(97.32%)를 득표해 상대 후보를 압도했다. 

김동연 후보는 권리당원 4776표(7.53%), 대의원 107표(8.43%)를 얻었고, 김경수 후보는 권리당원 2736표(4.31%), 대의원 54표(4.25%)를 득표했다. 

“사위입니다”, “아들입니다” 충청표심 자극

이날 정견발표에서 이재명 후보와 김동연 후보는 지연 연고를 앞세워 지지를 호소했다. 이들은 “충청의 사위”, “충청에서 나고 자란 충청 사람”이라고 자신을 소개했다. 충청의 ‘사위’와 ‘아들’ 간 충청 표심을 얻기 위한 대결을 펼친 것. 

공약 경쟁은 치열했다. 이 후보는 “대한민국 중심에 충청이 단단히 자리할 것”이라며 국회 세종의사당, 대통령 세종 집무실 걸립, 2차 공공기관 이전 등을 언급했다. 대전 과학수도, 충남·충북 미래산업 중심지 등을 언급하며 지역공약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 후보는 이어 “충청이 살아야 대한민국이 산다. 수도권 1극체제를 완화하고, 권역별 투자로 지역 성장동력을 복원하겠다”며 “충청의 위대한 대한국민과 함께 진짜 대한민국을 만들고 싶다”고 지지를 호소했다. 

김 후보는 국회·대통령실 세종 이전에 더해 ‘대법원과 대검찰청’ 충청 이전을 공약하며 맞섰다. 그는 “민주당 DNA를 가진 충청의 아들 김동연이 충청의 발전, 행동으로 실천하겠다”며 “대통령 당선 즉시 대통령실을 세종으로 옮겨 취임 당일부터 일하겠다”고 했다. 

이어 “국회와 대법원, 대검찰청까지 충청으로 옮기고, 충청의 일자리와 교육에 집중하겠다”며 “충청에 대기업 도시 3개를 건설하고, 대기업 일자리와 연계해 서울대 3개를 만들겠다”고 공약했다. 

‘충청의 친구’ 김경수 “충청 메가시티 구축”

더불어민주당은 19일 충북 청주체육관에서 대선 후보를 선출하기 위한 첫 합동연설회를 가졌다. 황재돈 기자.

지역 연고가 없는 김경수 후보는 ‘충청의 친구’로 자신을 소개했다. “충청에 친구가 많다. 여러분의 친구가 되겠다”고 말해 박수갈채를 받았다.  

김 후보는 충청권 메가시티 광역 교통망 확충을 주요 공약으로 제시했다. 그는 "충청광역연합 출범은 경계를 넘어 하나의 공동체를 만들겠다는 약속"이라며 "지방소멸이 현실이 된 이 땅에서 '충청권 메가시티'는 새로운 대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촘촘한 광역 교통망은 메가시티 성공의 필수조건"이라며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 조기 추진과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등 광역 교통망 확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충청권 합동연설회를 마친 민주당은 오는 19일 영남권 경선과 다음주 주말 호남권(26일), 서울·강원·제주권(27일) 경선을 실시한 후 최종 후보를 선출한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