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조 수심 수m 불구 사리 겹치면서 거센 물살에 휩쓸린 듯
함정·헬기·음파탐지 동원 불구 사흘째 수색에도 오리무중

가로림만 서해호 전복사고가 사흘째를 맞은 가운데 해경을 비롯한 관계기관이 남은 실종자 김모(56) 씨를 찾기 위해 사력을 다하고 있다. 태안해경
가로림만 서해호 전복사고가 사흘째를 맞은 가운데 해경을 비롯한 관계기관이 남은 실종자 김모(56) 씨를 찾기 위해 사력을 다하고 있다. 태안해경

가로림만 서해호 전복사고가 사흘째를 맞은 가운데 해경을 비롯한 관계기관이 남은 실종자 김모(56) 씨를 찾기 위해 사력을 다하고 있다.

김 씨는 덤프트럭 기사로 배에 실려있던 트럭과 함께 실종됐다. 김 씨가 사고 당시 갑판이나 객실에 있었는지, 아니면 트럭에 타고 있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승선자 7명 중 배가 기울면서 바다로 뛰어내린 2명은 곧바로 구조됐지만 나머지 5명 중 김 씨를 제외한 4명은 선체 객실에서 숨진 채 차례로 발견됐다.

경찰은 김 씨가 트럭에 타고 있었을 가능성도 열어두고 수색 중이지만 차량을 찾지 못하고 있다. 사고 지점은 만조때 수심이 10여 m지만, 간조 때는 10m가 채 안되는 비교적 얕은 곳이다.

24t 덤프트럭.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24t 덤프트럭.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따라서 빈차 무게만 13t에 달하는 24t 덤프트럭이 멀리 떠내려가진 않았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화물이 가득실린 채 쏟아지지 않았다면 차량 총 무게는 37t에 달한다.

유가족도 "수심도 낮은 데 그 큰 차를 찾지 못하는게 잘 이해가 안 간다"며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해경은 사고 이튿날인 지난 31일 오후부터 음파탐지기(소나)까지 동원해 수색 중이지만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해경 관계자는 "사고 지점 수심이 낮더라도 평상시에도 물살이 센 곳인데다 사고 당일부터 물살이 더 세지는 그뭄 사리가 겹쳐 멀리 떠내려 갔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범위를 더 넓혀 수색 중이다"고 밝혔다.

서해호는 지난 30일 오후 5시 20분쯤 고파도 북쪽 우도항에서 7명의 인원과 덤프트럭(24t)(11t), 카고크레인(11t), 굴착기 등을 싣고 출발해 남쪽으로 약 13㎞ 떨어진 서산 구도항으로 향하던 중 오후 6시 26분쯤 고파도 남쪽 해상에서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며 전복됐다.

선장과 선원 1명 등 2명을 제외한 승객 5명은 우도항에 수산물작업장 및 회의실로 구성된 3층짜리 한마음복합센터를 짓는 공사 인부들이다. 이 가운데 승객 2명은 배가 기울어질 때 바다에 뛰어들었다가 전복된 배 위로 올라가 구조됐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