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보건대만 초광역으로 선정, 충남은 건양대 선정
"글로컬사업 부풀려진 면도...일희일비하지 말아야"
지방대학의 미래가 걸렸다는 글로컬대학30 사업에 대전권 대학이 모두 탈락했다. 다른 지역과 연합으로 지원한 대전보건대학교만 초광역으로 선정됐으며, 충남에서는 건양대가 이름을 올렸다.
교육부는 28일 오전 "(글로컬사업) 본지정 평가는 예비지정 대학이 혁신기획서를 구현하기 위해 지자체 · 산업체 등과 공동으로 수립한 실행계획을 평가했다"면서 "계획의 적절성과 성과관리, 지자체 지원 및 투자 등 3개 영역에서 계획이 얼마나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지, 대학과 지역의 발전 전략이 긴말하게 연결됐는지, 지자체가 대학의 혁신과제에 부합하는 지원계획을 수립했는지 등을 살펴봤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4월 대전에서 통합을 기반으로 한 충남대-한밭대, K-스타트업 밸리를 모델로 한 한남대, 보건의료산업 인력 양성을 위해 대구보건대·광주보건대와 연합 모델을 내세운 대전보건대가 글로컬 사업에 예비지정됐다.
이후 각 대학이 글로컬사업 본지정에 사활을 걸었지만, 초광역 대전보건대를 제외하고 모두 탈락, 올해도 지역에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에 대해 대학 자체역량 및 구성원 간의 합의 부족, 정치력 및 지자체 역할 부재 등이 거론되고 있다.
김경한 전국사학민주화교수연대 대표는 "국책사업의 경우 구성원의 합의절차가 중요한데 충남대와 한밭대는 알다시피 통합 관련 잡음이 계속되면서 실행계획서 및 합의문 등이 비정상적으로 제출됐고, 한남대는 여러 면에서 힘을 많이 썼지만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글로컬사업 본지정 실패에 한남대는 "아쉽다"는 짤막한 반응을 보였고, 충남대는 "곧 입장을 낼 예정이며 통합 관련 내용도 포함될 것 같다"고 밝혔다.
대전권 주요 대학의 글로컬 사업 선정 실패에 "일희일비 하지 말자"는 의견도 있다.
해당 사업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던 한 대학 교수는 "글로컬사업이 뻥튀기된 면이 있다. 1년에 200억 원, 5년 동안 1000억 원을 지원한다는 것인데, 이 예산이 현재 확보된 것도 아니다. 약속 어음일 뿐"이라며 "대학이 일상상경비 등에서 재정난을 겪고 있는 것은 사실로, 이 때문에 목적사업보다 예산 운영이 좀 자유로운 글로컬사업을 따내려고 혈안이 된 것인데 그 과정에서 통합적사고보다 밥그릇만 챙기려고 한 현재 대학의 모습이 아쉬웠다"고 전했다.
다른 대학 관계자도 "오늘 선정된 대학 가운데는 정원도 못 채우는 곳이 상당수다. 또 최근에는 교육부가 지난해 지정된 대학의 지정을 취소하거나 예산을 삭감하겠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사업 자체가 불투명...선정되지 못했다고 당장 대학이 망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섭섭하기는 하지만 크게 일희일비할 일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글로컬대학은 ▲건양대 ▲경북대 ▲국립목포대 ▲국립창원대·경남도립거창대·경남도립남해대·한국승강기대 ▲동아대·동서대 ▲대구보건대·광주보건대·대전보건대 ·대구한의대 ▲원광대·원공보건대 ▲인제대 ▲한동대 등이 선정됐다.
건양대는 '케이(K)-국방산업 선도대학'을 비전으로 국방산업 중심으로 대학 체계를 전면 개편하고 국방산업 관련 시험·인증·실증 중심으로 교육·산학협력 특화 및 국방 협력 플랫폼 기능을 구현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