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부회의서 시민단체와 '권한 쟁의 심판 청구 소송' 밝혀
"교부세 삭감 법적 근거 없어..말로만 지방시대" 지적

박정현 부여군수가 20일 오전 부여 여성문화회관에서 열린 간부회의에서 윤석열 정부의 '긴축재정' 기조에 작심발언을 쏟아냈다. 정부가 지어야 할 책임을 지자체에 일방적으로 떠넘긴다는 이유에서다. 부여군 제공. 
박정현 부여군수가 20일 오전 부여 여성문화회관에서 열린 간부회의에서 윤석열 정부의 '긴축재정' 기조에 작심발언을 쏟아냈다. 정부가 지어야 할 책임을 지자체에 일방적으로 떠넘긴다는 이유에서다. 부여군 제공. 

[부여=디트뉴스 김다소미 기자] 박정현 부여군수가 20일 윤석열 정부의 ‘긴축재정’ 기조에 반발해 작심발언을 쏟아냈다.

박 군수는 이날 오전 부여여성문화회관에서 열린 간부회의에서 정부의 교부세 삭감 을 비판하며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과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와 함께 ‘권한 쟁의 심판 청구’ 소송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정부가 지자체 교부세를 삭감하는 과정에서 행정안전부로부터 공식 문서조차 받지 못해 법적 근거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또 민선7기 최대 성과였던 ‘지방채 전액 상환’을 언급하며 교부세 삭감에 따라 재발행해야 할 상황이라고도 설명했다. 

"말이 좋아 긴축재정, 저성장 거듭" 비판 쏟아내

박 군수는 “정부가 ‘긴축재정’이란 이름으로 지자체에 지급하는 교부세를 삭감한다고 한다. 부여는 올해 597억 원을 못 받았고, 내년에도 550억 못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말이 좋아 '긴축재정'이지, 정치와 경제를 못 풀어 계속 저성장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기업이 돈을 못 벌고 있으니 그 만큼 세수가 줄어들었는데도 대기업은 세금을 감면해주면서 구멍 난 세수가 59조다. 중앙정부가 국채를 발행해 메꿔야 하는데, 되레 지자체에 떠넘기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이런 상황에서 아이러니 하게도 윤석열 정부가 핵심 국정과제로 ‘지방시대 구현’을 내세웠다. 절차도 제대로 안밟으면서 어떻게 지방시대를 구현하나. 국민을 기만한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부여는 재정안정화 기금도 몇십 억 마련해놨다. 정부의 이 같은 결정을 예상하며 지난 5월 전국 시장군수들 중 최초로 대형 사업을 재검토 하고, 하면 안되는 사업 구조조정 하면서 대비해왔다”고 부연했다.

"지방채 재발행 할 상황..지자체 미래 역량에 정부가 걸림돌"

계속해서 “수해복구 분담분, 일반산업단지 조성, 문화예술타운 조성을 위해 지방채를 다시 발행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며 “상환 계획도 마련 중”이라고 전했다.

박 군수는 “지자체의 자주적 미래 역량을 만들어가는데 정부가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군수가 살림을 잘 못해 직원 월급 줄 돈이 없다고 악의적인 비방을 받기도 한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그는 끝으로 “시민단체와 소송에 앞서 직원들이 여러 정부 사업에서 부여군이 불이익을 받을까 걱정을 많이 했다. 배제될 때 되더라도 할말은 해야겠다”며 “이 일로 부여군이 불이익을 받는다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겠다”고 역설했다.

한편 박 군수는 지난 7일 부여 롯데리조트에서 열린 충남시장군수협의회에서 정부의 긴축재정 기조 아래 기초자치단체 재정 어려움이 심각하다며 대책 마련 필요성을 밝혔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