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영상회의
김영환 "교통통제, 경찰 중심 일원화 돼야..시스템 정비 필요"
김태흠 "댐 대량 방류 시 협의기구 필요..피해 최소화"

김영환 충북지사와 김태흠 충남지사가 17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에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했다. 충북도, 충남도 제공.
김영환 충북지사와 김태흠 충남지사가 17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에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했다. 충북도, 충남도 제공.

[황재돈 기자] 김영환 충북지사와 김태흠 충남지사가 17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에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했다. 이와 함께 집중호우 피해 재발 방지 방안 등을 건의했다. 

양(兩) 지사는 이날 윤 대통령 주재로 열린 ‘집중호우 대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지역 호우피해 현황을 설명하며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건의했다. 

먼저 김영환 지사는 “충북지역 집중호우로 청주와 충주, 괴산 등 수해피해와 오송 궁평2지하차도에서 인명피해가 났다”며 “조속한 사고 수습과 복구를 위해 도내 특별재난지역 선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특히 “재난 발생 시 교통통제를 경찰 중심으로 일원화 하는 방안 등 시스템 정비와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는 또 “이번 사고는 집중호우에 따른 미호강 중간 교량 공사장 제방이 붕괴된 것”이라며 “이 지역 준설이 수 십년 간 이뤄지지 않아 퇴적토 등이 쌓인 것으로 하천 준설과 강 치수에 대한 근본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도 강조했다. 

이는 궁평2지하차도 인명피해 ‘책임론’이 불거진 데 따른 조처로 풀이된다.

앞서 금강홍수통제소는 참사 4시간 전인 15일 오전 4시 40분께 미호강 주변 '홍수 경보'를 발령하고, 청주시와 흥덕구 등 기관에 통보했지만, 사고지역에는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다. 

때문에 참사 이후 지하차도 '교통 통제' 소관 책임을 두고 광역단체와 경찰 간 이견이 갈리는 상황이다. 

경찰은 전담수사본부를 꾸려 미호천 '호수 경보'에도 불구하고 지하차도 교통통제가 이뤄지지 않은 경위와 이유 등을 수사할 예정이다.

김태흠 충남지사, 댐 방류 협의기구 필요성 제기 
“금강변 시설작물 피해, 별도 지원 필요” 강조


김태흠 충남지사 역시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함께 금강 주변 비닐하우스 시설작물 피해에 대한 별도의 지원을 요청했다. 

김 지사는 “대청댐과 용담댐이 집중호우로 방류를 하다 보니 지천 물이 금강 본류로 유입되지 못해 하류 지역 농경지 침수 피해가 더 발생했다”며 “향후 댐 방류 피해 최소화를 위한 협의 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댐 긴급 방류 시 중앙부처와 수자원공사, 지자체 간 사전 협의를 통해 댐 하류지역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앞서 지난 2020년 용담댐 대량 방류로 충남 금산과 충북 무주·옥천·영동지역이 큰 피해를 입자, 지역에선 재발방지를 위해 댐 대량 방류 시 지자체와 사전 협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된 바 있다. 

김 지사는 또 “호우 피해가 큰 청양과 부여, 공주, 논산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조기 선포될 수 있도록 해 달라”며 “특별재난지역에 지정돼도 시설작물은 일부만 지원받는다. 이들 농가에 별도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