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영상회의
김영환 "교통통제, 경찰 중심 일원화 돼야..시스템 정비 필요"
김태흠 "댐 대량 방류 시 협의기구 필요..피해 최소화"
[황재돈 기자] 김영환 충북지사와 김태흠 충남지사가 17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에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했다. 이와 함께 집중호우 피해 재발 방지 방안 등을 건의했다.
양(兩) 지사는 이날 윤 대통령 주재로 열린 ‘집중호우 대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지역 호우피해 현황을 설명하며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건의했다.
먼저 김영환 지사는 “충북지역 집중호우로 청주와 충주, 괴산 등 수해피해와 오송 궁평2지하차도에서 인명피해가 났다”며 “조속한 사고 수습과 복구를 위해 도내 특별재난지역 선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특히 “재난 발생 시 교통통제를 경찰 중심으로 일원화 하는 방안 등 시스템 정비와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는 또 “이번 사고는 집중호우에 따른 미호강 중간 교량 공사장 제방이 붕괴된 것”이라며 “이 지역 준설이 수 십년 간 이뤄지지 않아 퇴적토 등이 쌓인 것으로 하천 준설과 강 치수에 대한 근본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도 강조했다.
이는 궁평2지하차도 인명피해 ‘책임론’이 불거진 데 따른 조처로 풀이된다.
앞서 금강홍수통제소는 참사 4시간 전인 15일 오전 4시 40분께 미호강 주변 '홍수 경보'를 발령하고, 청주시와 흥덕구 등 기관에 통보했지만, 사고지역에는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다.
때문에 참사 이후 지하차도 '교통 통제' 소관 책임을 두고 광역단체와 경찰 간 이견이 갈리는 상황이다.
경찰은 전담수사본부를 꾸려 미호천 '호수 경보'에도 불구하고 지하차도 교통통제가 이뤄지지 않은 경위와 이유 등을 수사할 예정이다.
김태흠 충남지사, 댐 방류 협의기구 필요성 제기
“금강변 시설작물 피해, 별도 지원 필요” 강조
김태흠 충남지사 역시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함께 금강 주변 비닐하우스 시설작물 피해에 대한 별도의 지원을 요청했다.
김 지사는 “대청댐과 용담댐이 집중호우로 방류를 하다 보니 지천 물이 금강 본류로 유입되지 못해 하류 지역 농경지 침수 피해가 더 발생했다”며 “향후 댐 방류 피해 최소화를 위한 협의 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댐 긴급 방류 시 중앙부처와 수자원공사, 지자체 간 사전 협의를 통해 댐 하류지역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앞서 지난 2020년 용담댐 대량 방류로 충남 금산과 충북 무주·옥천·영동지역이 큰 피해를 입자, 지역에선 재발방지를 위해 댐 대량 방류 시 지자체와 사전 협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된 바 있다.
김 지사는 또 “호우 피해가 큰 청양과 부여, 공주, 논산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조기 선포될 수 있도록 해 달라”며 “특별재난지역에 지정돼도 시설작물은 일부만 지원받는다. 이들 농가에 별도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관련기사
- 박범인 금산군수, 용담댐지사장 만나 안전 방류 건의
- 여야 지도부, 연이틀 충청행 “수해 지역 특별재난지역 약속”
- 民충북도당 “오송참사, 성역없는 감찰과 책임규명” 요구
- 이범석 청주시장 "수해 복구, 예산 따지지 말고 선 조치"
- 논산시, 집중호우 피해...정부 차원 재난지원 요청
- '잠기고, 무너지고'..충북 집중호우 누적 사망자 16명
- 충남도 곳곳 비 피해 속출···지하차도 이상 시 즉시 차단
- 여야 지도부, 충북 수해 현장 방문 ‘민심 달래기’
- ‘물 폭탄’ 맞은 청주시 사상자 26명, 이재민 600명 넘어
- “잘 버텨볼게” 오송 참사 방명록..김영환·이범석은 '뭇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