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서 기자회견 “후발주자 우선권 부여, 형평성 제고해야”
도, 중점유치기관 34개 선정

충남혁신도시유치 범도민추진위원회는 27일 오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차 수도권 공공기관 충남혁신도시 우선 이전을 촉구했다. 유솔아 기자.
충남혁신도시유치 범도민추진위원회는 27일 오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차 수도권 공공기관 충남혁신도시 우선 이전을 촉구했다. 유솔아 기자.

[유솔아 기자] 충남혁신도시유치 범도민추진위원회(추진위)가 2차 수도권 공공기관 충남혁신도시 우선 이전을 촉구하고 나섰다.

추진위는 27일 오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충남은 지난 2020년 10월 혁신도시 지정 이후 공공기관 이전 준비만 수년째”라며 “1차 공공기관 이전에서 제외된 후발주자인 충남에 이전기관 우선 선택권을 부여해 형평성을 제고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전국혁신도시협의회 등 일부에서는 도의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입장문을 정부에 건의하고 있다”며 “정부가 이를 반박하는 등 어떠한 입장을 밝히지 않아 지자체 간 경쟁이 과열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정부는 공공기관 이전 로드맵을 조속히 발표하고, 지역이 가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공기관을 적정 배치해야 한다”며 “특히 충남에는 중대형 공공기관과 탄소중립, 문화체육, 중소벤처 관련 기관이 이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회견 말미에는 “공공기관 이전으로 그동안 소외받은 도민의 서러움을 해결해야 할 것”이라며 “220만 도민은 혁신도시 발전을 도모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이룩하는 그날까지 의지를 굽히지 않겠다”고 밝혔다.

중점 유치 기관 34개 선정..“당위성 마련, 대응 철저”


도는 앞서 지난 6일 2차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을 앞두고 중점 유치 대상 34개 기관을 공식화했다. 자료사진.
도는 앞서 지난 6일 2차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을 앞두고 중점 유치 대상 34개 기관을 공식화했다. 자료사진.

도는 앞서 지난 6일 2차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을 앞두고 중점 유치 대상 34개 기관을 공식화했다. 

먼저 우선선택권(드래프트제) 적용 요구 기관으로는 본사 종사자 500명 이상 대형기관 9곳과 100명 이상 대형기관 4곳 등 총 13곳이 포함됐다. 

충남 특화 기능군 기관으로는 ▲탄소중립군 ▲문화·체육군 ▲중소·벤처군 등 총 21개 기관을 선정했다. 

도는 혁신도시 지정 이후 후속절차가 없는 등 차별적인 상황을 고려해 대규모 공공기관 이전 우선권을 요구할 방침이다. 

또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절반이 도내 밀집돼 있고 그동안 받은 피해를 내세워 탄소중립군 유치에 나설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현재 중점유치 기관을 대상으로 당위성과 논리를 마련하는 중”이라며 “오는 상반기로 예정된 국토교통부 공공기관 이전 계획 발표에 맞춰 철처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