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국원장회의서 “국토부에 집요하게 요구하라”
이전 대상 공공기관에 ‘홍보’ 필요성 강조
[황재돈 기자] 충남도가 2차 수도권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대비한 전략 마련에 나섰다. 우선 국토교통부에 '기관 우선 선택권 부여'를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한편, 이전 대상 공공기관에 충남이 최적지임을 적극 홍보한다는 계획이다 .
김태흠 충남지사는 9일 도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실국원장회의에서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5일 충청권 균형발전 협력을 약속하며 3대 추진전략 19대 과제를 제시했다”며 “도 현안 해결을 위해 중앙부처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특히 “도는 국토부와 협력회의에서 공공기관 이전 시 우선 선택권을 부여하도록 건의했다”며 “국토부와 협의했던 내용이 조속히 이행될 수 있도록 집요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해 달라”고 강조했다.
앞서 김 지사는 지난 5일 충북도청에서 열린 국토부-충청권 지역발전 협력회의에서 ‘충남혁신도시 완성’을 위한 국토부 차원의 지원을 요청했다.
당시 김 지사는 국토부 장관에게 “혁신도시 지정 후 후속 정부정책이 사실상 전무한 상태”라며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에서 후발주자인 충남에 ‘이전기관 우선선택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김 지사는 그동안 충남의 경우 1차 공공기관 이전 때 혜택을 보지 못한 만큼, 2차 공공기관 이전에서 기관 우선 선택권을 받는 소위 ‘드래프트제’ 도입을 강조해왔다. 1차 공공기관 이전에선 전국 10개 혁신도시에 112개 기관이 이전했다.
다시 말해, 1차 혁신도시에 평균 11개 가량의 기관이 이전한 만큼 혁신도시 간 형평성 제고를 위해 적어도 10개 안팎의 대형 공공기관을 우선 배정하고, 나머지 기관을 균등하게 배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 지사는 또 이전 기관을 대상으로 한 홍보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올 상반기 중 공공기관 이전 논의가 이뤄지면 기관들은 어디로 가느냐를 두고 설왕설래할 것”이라며 “사전에 이전 기관을 대상으로 충남이 교통과 교육, 주거 등 인프라가 갖춰진 이전 최적지임을 적극 홍보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