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안 대비 327억 원 증액, 온통대전 축소
이장우 시장 “국비 4조원 시대, 협력 성과”

이장우 대전시장이 26일 언론브리핑을 열고 국비 확보 성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이장우 대전시장이 26일 언론브리핑을 열고 국비 확보 성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한지혜 기자] 민선8기 대전시가 국비 4조1485억 원을 최종 확보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26일 오전 11시 20분 대전시청 2층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내년도 국비 확보 현황에 대해 밝혔다.

내년도 국비 확보핵은 올해(3조8644억 원) 대비 2841억 원(7.3%) 많은 규모로 당초 정부안과 비교해 327억 원 증액됐다.

방위사업청 대전 이전비는 210억 원이 원안 반영됐다. 이외에도 ▲한국기상산업기술원 1차 이전 사업비(23억8400만 원 요청, 21억900만 원 반영) ▲한국임업진흥원 대전청사 신축 설계비(8억3000만 원 전액 반영) 등 기관 이전과 관련된 예산 확보에서 소기의 성과를 얻었다. 

시가 요구했으나 정부안에 미반영됐거나 증액이 필요했던 사업은 총 16건이다. 이중 9건이 수용됐다. 

구체적인 사업 내용은 ▲국립중앙과학관 복합과학체험랜드(30억 원 요청, 13억6500만 원 반영) ▲대전추모공원 제4봉안당 건립사업(18억9000만 원 전액 반영) ▲인공지능·메타버스 기반 재난안전관리체계 강화(100억 원 요청, 20억 원 반영) ▲대덕특구 50주년 행사비(17억 원 요청, 2억 원 반영) ▲청벽산공원~엑스포아파트간 도로확장(20억 원 요청, 5억 원 반영) ▲항저우 아시안게임 이스포츠 예선 대전개최(9억 원 전액 반영) 등이다.

증액을 요청했으나 수용되지 않은 사업은 ▲베이스볼 드림파크 조성 ▲금고동 위생 매립장 14~17 단제방 및 차수시설 설치사업 ▲샘머리 목재친화 그린네트워크 조성사업 등이다. 

지역화폐 예산은 정부로부터 230억 원을 배분받다. 다만, 시는 향후 저소득층 중심으로 연말연시, 명절 등 특별한 기간에 한정해 혜택을 주는 방안으로 운영을 축소할 계획이다. 

분야별 국비 예산 ‘확정’ 현안 사업 탄력

분야별 정부예산안 확보 현황을 보면, 보건·복지분야에는 ▲기초연금(4297억 원) ▲생계급여(2126억 원) ▲의료급여(2782억 원) ▲영유아보육료(985억 원) ▲아동수당 급여(688억 원) ▲장애인활동지원급여지원(889억 원) 등이 포함됐다.

과학경제 분야 반영 사업은 ▲KAIST 혁신 디지털 의과학원 구축(8억9000만 원) ▲대덕특구 융합연구 혁신센터 조성(20억 원) ▲대덕특구 바이오헬스 기술사업화 협업플랫폼 구축(30억 원) ▲세포주 기반 의료용 항체 신속제조 지원센터 구축(33억 원) ▲대전 산업기술단지 (테크노파크)추가 조성(20억 원) ▲사회적경제혁신타운조성(42억 원) 등이다.

SOC사업으로는 ▲충청권 광역 및 순환도로망 조성(226억 원) ▲도시철도 2호선 트램(203억 원) ▲대전~옥천 광역철도(20억 원) ▲대전차량기술단 인입선 이설(119억 원) ▲외삼~유성복합터미널 BRT연결도로(25억 원) ▲제2매립장(1단계) 조성(115억 원) ▲신탄진휴게소 하이패스IC 설치공사(12억5000만 원) 등이 포함됐다.

지역균형발전 분야는 ▲도시재생 뉴딜사업(112억 원) ▲지역소멸대응 기금(12억 원) ▲지방투자촉진 보조금(32억 원) ▲개발제한구역내 주민지원사업(72억 원) 등이 반영됐다.

이장우 시장은 “정부의 긴축재정 기조에도 불구하고, 대전시 공직자들의 적극적인 예산 확보 활동, 지역 국회의원들의 지원으로 시가 요구한 사업예산 대부분이 반영됐다”며 “내년에는 대전의 그랜드플랜을 마련하고, 전략적으로 시정을 계획해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일류경제도시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