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지방선거 후보자 검증 ① ] 대전시장 편
이장우, 서울 아파트·대전 상가 건물 보유 논란
허태정, 유성 노은 아파트값 올라 재산 증가

지난 12일 대전선관위를 찾아 본후보등록을 마친 (왼쪽부터) 허태정 더불어민주당 후보, 이장우 국민의힘 후보. 자료사진. 
지난 12일 대전선관위를 찾아 본후보등록을 마친 (왼쪽부터) 허태정 더불어민주당 후보, 이장우 국민의힘 후보. 자료사진. 

[한지혜 기자] 재선 구청장과 민선7기 대전시장을 지낸 허태정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대전 동구에서 19, 20대 국회의원을 지낸 이장우 국민의힘 후보 모두 대전시장 출마 전 10여 년 간 선출직 공직자로 일했다. 이 기간, 두 후보의 재산은 얼마나 늘었을까.

이번 지방선거 후보등록을 통해 공개된 두 후보의 최근 재산 규모는 허 후보 6억1050만 원, 이 후보 21억3896만 원이다.

<디트뉴스>가 13일 공직자재산공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허태정 후보의 재산은 유성구청장에 당선된 2010년부터 2022년 현재까지 12년 간 약 5억3391만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개된 재산은 2010년 기준 8558만 원, 2022년 기준 6억1050만 원이다.

이장우 후보는 대전 동구에서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직후 2억7772만 원의 재산을, 20대 국회의원을 지낸 마지막 해인 2020년에는 13억9770만 원을 신고했다. 8년 간 증가액은 11억1998만 원으로 허 후보와 비교하면 2배 이상 많다. 허 후보는 연간 4374만 원씩, 이 후보는 연간 1억3999만 원씩 늘어났다.

이 후보는 2012년 본인 명의로 동구 효동 현대아파트 건물(134㎡)을 소유하고 있었으나, 2015년 배우자 명의로 서울 마포구 아현동 아파트 분양권을 5억8000만 원에 구매해 보유했다.

해당 아파트 공시지가는 2022년 기준 9억8200만 원이다. 다만, 지난 2020년 대전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대전경실련)은 해당 아파트 시세를 13억 원으로 추정했다. 이번 후보자 재산공개내역에 따르면, 이 후보는 이후 효동 아파트를 처분하고, 본인 명의로 용운동 아파트 전세권을 취득한 것으로 확인됐다.

허 후보는 유성구청장에 첫 당선된 해인 2010년 배우자 소유로 1억 4000만 원 상당의 유성구 신성동 럭키아파트(102㎡) 1채를 소유하고 있었고, 신성동 대림두레아파트 건물(128㎡) 전세권(1억8000만 원)을 보유 중이었다. 이후 2015년 럭키아파트를 1억8200만 원에 매도해 4200만 원의 차익을 얻었다.

이듬해 허 후보는 가지고 있던 전세권과 아파트 매도금을 합쳐 배우자 명의로 노은동 열매마을8단지 아파트(99㎡) 1채를 3억9500만 원에 구입했다. 현재 기준 해당 아파트 공시지가는 4억6500만 원이다. 올해 허 후보의 재산증가분 대부분이 아파트 공시지가 상승분이다.

상가건물·토지 보유 얼마나?

허태정 민주당 후보(왼쪽, 2022년 기준), 이장우 국민의힘 후보(오른쪽, 2020년 기준) 공직자재산공개자료.
허태정 민주당 후보(왼쪽, 2022년 기준), 이장우 국민의힘 후보(오른쪽, 2020년 기준) 공직자재산공개자료.

허 후보는 구청장 재직 시절 모친으로부터 고향인 충남 예산 소재 종중 땅(임야) 일부를 상속받았으나, 지난 2021년 명의신탁해지로 소유권을 상실했다. 현재는 장남과 공동 소유 형태로 950만 원 가액의 대지만 보유하고 있다.

이 후보는 2020년 기준 고향인 충남 청양 등에 논과 임야 등 약 8330만 원 가액의 토지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외에도 이 후보는 지난 2017년 대전역 인근인 중동에 배우자 명의의 건물(580㎡, 지상 3층), 대지(217㎡)를 매입해 현재까지 소유하고 있다. 당시 매입액은 11억6000만 원이다.

그는 건물 구입 몇 개월 후 대전역 일대가 중앙로 개발, 관광활성화 사업지구로 선정돼 국비 예산이 투입되면서 이해충돌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당시 이 후보는 배우자와 딸의 사업 등이 목적임을 밝히며 이를 부인했다.

최근 선거 토론회에서도 후보자의 부동산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허 후보는 이 후보가 서울에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는 점, 상가 건물이 현재 국민의힘 지방선거 출마 후보자들의 합동 사무실로 쓰이고 있는 점을 문제 삼았고, 이 후보는 즉각 “서울 아파트는 자녀들이 살고 있고, 상가 건물은 아내와 딸의 사업 등 필요에 의해 매입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