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 명칭 사용·병원장 임명 조항 '불합리성 인정'
허태정 시장, 조만간 넥슨 재단 만나 직접 조율

대전시 이동한 보건복지국장이 10일 열린 브리핑에서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과 관련된 기부기관 넥슨과의 협약 개정 추진 사항을 설명하고 있다. 한지혜 기자.
대전시 이동한 보건복지국장이 10일 열린 브리핑에서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과 관련된 기부기관 넥슨과의 협약 개정 추진 사항을 설명하고 있다. 한지혜 기자.

[한지혜 기자] 대전시가 올해 말 개원하는 공공어린이재활병원과 관련해 기부기관인 넥슨 재단과 맺은 운영 협약 개정을 추진한다. 전국 최초로 건립되는 공공형 어린이 재활의료기관이 공공성 퇴색 논란에 직면하자 내린 조치다.

시 이동한 보건복지국장은 10일 오전 11시 대전시청 2층 기자회견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기부기관인 넥슨의 명칭사용, 병원 운영 관여 등의 협약 내용을 개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는 지난 2019년 10월 넥슨 재단과 협약을 체결하면서 협약서에 ▲대전충남넥슨어린이재활병원 명칭 사용 ▲병원장 임명 시 대전시와 넥슨재단의 협의 ▲넥슨재단의 운영위원회 참여 ▲20억 이상 사업비 증감 시 대전시와 넥슨 재단 협의 등의 조항을 담았다.

지역 시민단체 등은 시가 넥슨 재단으로부터 100억 원의 기부금을 받으면서 체결한 협약 내용이 공공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또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12월 초 해당 명칭이 사용 불가하다는 의견서를 시에 전달하기도 했다. 

이 국장은 “병원명에 기업명을 사용할 수 없다는 보건복지부 의견 등을 받아들여 병원 명칭에 기업명을 사용하지 않을 예정이고, 병원장 임명 등 인사에 관련해서는 불합리한 내용으로 판단돼 협약 내용에서 제외할 계획”이라며 “개정이 합의되지 않을 시 반환된 기부금은 시비로 충당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국장은 “대전시에서 최초로 건립하는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장애어린이를 둔 부모님들의 오랜 숙원이었고, 협약 당시 병원 규모 확대에 따른 지방재정 부담이 있던 상황도 있었다”며 “재단 측과 시장님이 조속한 시일 내에 직접 만나 협약 내용을 조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기부기관이 병원 운영위원회에 참여할 수 있다는 조항은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 국장은 “기부자로서 운영위원회 참여는 개원 후 병원의 정상적인 운영과 재정적 기여 등을 위해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그동안 비밀유지 조항 때문에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에 함께해준 시민단체, 의회 등에 소상히 말씀드리지 못한 점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올해 12월 말 개원을 목표로 서구 관저동에 건립된다. 규모는 지하 2층, 지상 5층, 70병상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