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의회 출석해 웃으며 "디트뉴스 광고중단 지시"시인
"광고비는 홍보비, 악의적 언론에 왜 주냐" 비뚤어진 언론관
"대통령실 대변인 발언에 민주당 성명까지, 정치적 악의" 주장
"디트뉴스는 언론노조, 민주노총 소속 부적절" 적대적 노동관도
김태흠 충남지사가 <디트뉴스24> 비판 보도를 이유로 실제 정부광고 집행 중단을 지시했다고 공개적으로 인정했다. 지역 시민사회와 정치권이 직권남용이라고 비판하고 있지만, 여론을 개의치 않겠다는 태도다.
앞서 디트뉴스는 지난 7월 수해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2027년 충청권에서 열리는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기 인수를 위해 유럽으로 동반 출장을 떠나는 것에 대한 적절성 여부를 비판 보도한 바 있다.
충청권 시도지사는 비판 여론에도 불구, 유럽출장을 강행하고 돌아온 뒤 디트뉴스에 대해 직·간접적으로 정부 광고를 중단하겠다고 통보했다. 이후 언론탄압 논란까지 번졌다.
안장헌 의원(더불어민주당·아산5)은 9일 열린 충남도의회 제361회 임시회 2차 본회의 도정질의에서 “언론사 광고비 중단 지시가 있었다는 얘기를 들었다. 실제 지사가 그렇게까지 할까 우려했다”고 질의했다. 이에 김 지사는 웃으며 “실제 지시했다”고 답했다.
사실 여부를 확인하는 질문에 김 지사가 거리낌 없이 “그렇다”고 답하자 안 의원이 “좀 당황스럽다”고 반응했지만, 김 지사는 오히려 “그것부터 질의하라. 출장 때문에 일이 이뤄진 것”이라며 당당한 태도를 보였다.
출장 비판을 “정치적 악의”로 규정
김 지사는 지난 7월 수해 복구 기간 중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함께 떠난 유럽 출장을 비판한 <디트뉴스24>의 보도에 대해 “출국 전 이미 복구 지원 계획을 발표했고, 외자유치 MOU 체결과 유니버시아드 대회기 인수라는 불가피한 일정이었다”며 출장의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문제는 디트뉴스가 충남 출입기자가 아닌 대전·서울 주재 기자를 동원해 대통령실 대변인 발언까지 받아내며 연속 보도했다. 이후 민주당이 성명을 내는 등 정치적 악의가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보도를 곧장 ‘정치적 악의’로 단정하며 정당한 언론 활동을 정치 공세로 치환했다.
“홍보비 중단 지시…프렌들리한 사람” 의미없는 자평
김 지사는 정부광고 중단 배경에 대해 “광고비는 홍보비다. 도를 홍보해 달라는 것인데 악의적 언론에 (주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해 홍보비 중단을 지시했다”며 “저는 언론에 프렌들리한 사람”이라고 자평했다.
특히 “이후 민주당에서 성명서를 내고 일련의 부분이 불순한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생각했고, 피해를 본 도민의 아픔을 악의적으로 정치 쟁점화 한다고 생각했다. 이 언론사는 우리 충남이 피해를 입었는데 피해가 없는 충북지사와 대전시장까지 끌어들여 충청권 4개 시도지사를 다 (비판한) 부분은 정치적 악의가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광고비 중단까지 이르게 된 배경에 대해선 “광고비는 홍보비다. 충남도 홍보해달라고 하는 데 악의적 언론에 대해 도지사로서 (보도가) 옳지 않다고 판단했고 당연히 홍보비를 중단했으면 좋겠다고 지시했다. 저는 과거 총리실 공보과장, 정무부지사 등을 거치며 언론에 프랜들리한 사람”이라고 자평했다.
김 지사는 “조그마한 문제로 광고비 중단하지 않는다. 다만 언론의 객관성, 공정성 등을 떠나 일방적으로 언론이 가진 권한을 남용하면 그런 부분은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책임을 언론에 돌렸다.
“자기검열 불러올 수 있어” 우려 제기
안 의원은 “불순한 의도가 있더라도 과연 소통을 통해 내린 결론인가. 이런 조치가 이어지면 언론에 큰 상처를 주고 선제적 자기 억제를 불러올 수 있다”며 신중함을 촉구했다. 또 “심각한 자기 검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 지사는 “디트뉴스가 이후 전국언론노조와 연계해 토론회를 열었는데, 언론노조가 민노총에 속한 것도 적절하지 않다”고 말하며 비판 대상을 언론노조까지 확장했다.
김 지사는 “여러 가지를 고려했고 일부 비판이 있음을 감안했다”고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