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당선인 충청권 평균 49.81% 득표
13대 대선 제외 총 8차례 당선 적중
'민심 바로미터'로 불리는 충청권 표심이 이번에도 통했다. 이재명 대통령 당선인의 전체 득표율은 충청권 평균 득표율과 거의 일치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 당선인의 최종 득표율은 49.42%,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득표율은 41.15%로 집계됐다. 두 사람은 각각 1728만 7513표, 1439만 5639표를 얻었다.
지역별로 보면, 이 당선인은 대전에서 48.50%(47만 321표) 득표율을 기록했다. 세종에선 55.62%(14만 620표), 충남에선 47.68%(66만 1316표), 충북에선 47.47%(50만 1990표) 득표율을 보였다. 충청권 평균 득표율은 49.81%로 전체 득표율과 불과 0.39%p 차이다.
김 후보는 대전에서 40.58%(39만 3549표), 세종에서 33.21%(8만 3965표), 충남과 충북에서 각각 43.26%(60만 108표), 43.22%(45만 7065표)를 얻었다. 평균 득표율은 40.06%다. 전체 득표율과 비교하면 1.08%p 차이다.
충청이 택하면 당선, 8차례 적중
충청권은 역대 선거에서 민심 풍향계 역할을 해왔다. 지난 19대 대선에선 4개 시·도 모두 당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향해 압도적인 지지를 보여줬다. 당시 문 후보 득표율은 대전 42.90%, 세종 51.10%, 충남과 충북은 38.6%였다.
지난 20대 대선에선 세종을 제외하고 대전, 충남, 충북 표심을 얻은 당시 윤석열 후보가 승리를 거머쥐었다. 득표율은 대전 49.56%, 충남 51.08%, 충북 50.67%로 전국 평균(48.56%) 대비 다소 높았다. 이재명 당시 민주당 후보는 세종(51.91%)에서만 우위를 차지했다.
15대 김대중, 16대 노무현, 17대 이명박 대통령도 모두 충청에서 1위를 차지하며 당선됐다. 14대 대선에서도 당시 김영삼(민주자유당) 후보가 충청권에서 승리하면서 대통령이 됐다.
충청권을 정치 기반으로 둔 김종필 신민주공화당 후보가 출마한 13대 대선을 제외하면, 대통령 직선제 이후 14대부터 21대까지 충청권에서 이긴 후보가 총 8번이나 최종 당선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