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민 의원, “세종 집무는 세종정부청사 중앙동 활용”
구체적 활용방안 제시 주목...정치권 합의와 결정 촉구
조기대선과 함께 정치 어젠다로 떠오른 대통령실 입지와 관련, 세종이 최적지라는 의견이 나왔다.
김종민 국회의원(세종갑)은 10일 기자회견을 통해 서울 집무는 청와대 영빈관과 여민관을 활용하고 금융연수원은 대통령인수위 사무실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김 의원은 "용산은 국민이 불신하고, 청와대는 국민 개방으로 갈 데가 없다"면서 "대통령 집무실을 어디로 할 것인지, 정당 간 합의로 조속히 준비에 들어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자리에서 김 의원은 "지난 윤 정부의 주요 부처 장관 일정 83건(24.11 기준) 중 세종 정부청사에서 진행된 일정은 고작 4건에 불과하다"고 지적한 후 "대통령과 장관이 주로 서울에 있으니 공무원이 서울과 세종을 오가며 길에서 시간을 다 버린다고 해서 ‘길국장’, ‘길과장’이라는 말이 나온 지도 오래됐다"고 꼬집었다.
특히 서울과 세종, 행정 비효율에 따른 사회적 비용만 연간 5조에 달한다는 자료를 제시하며 "서울과 세종의 두 집 살림, 이제 결론을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김 의원은 세종 대통령 집무실 활용방안에 대해 경호, 방호, 보안 등 관계 공무원, 전문가와 깊이 검토한 결과를 토대로 "세종정부청사 중앙동 건물(연면적 13만 4000㎡)에서 집무를 하고, 서울 집무의 경우, 청와대 영빈관, 여민관, 그리고 대통령 인수위 건물로 사용하던 금융연수원 건물을 활용하면 위헌 논란도 피해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준비기간도 2~3개월이면 충분하고, 집중 공사를 통해 기간 단축도 가능한만큼, 얼마나 빨리 결정하고 준비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
김 의원은 "세종 대통령 집무실 부지매입비와 설계비 예산도 올해 예산에 편성되어 있다. 세종 국회의사당, 대통령 집무실 신축공사가 마무리되는대로 옮기면 된다"면서 "정당 모두가 합의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김 의원은 노무현 정신을 되살려 행정수도 완성, 함께 잘 사는 균형발전국가로 가는 자치분권개헌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