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표 발언에 야권 너도나도 세종행 촉구 성명
단기간 전체 이전 사실상 어렵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아
윤대통령 탄핵에 따른 조기대선 일정이 확정된 가운데 대통령실 세종 이전에 대한 이슈가 급부상하고 있다.
청와대와 용산이 가지는 '정치적 이미지'를 떠나 '제3의 장소이자 대안'으로 세종이 정치권으로부터 적지라는 의견이 나오면서부터다.
지난 8일 더불어민주당 유력주자로 이재명 대표가 행정수도 이전을 사실상 대선공약으로 띄우면서 대통령실 이전 여부에 대한 논의도 활발해지고 있다.
민주당 충청권 의원을 중심으로 민주당 집권 시 대통령실 등을 세종시로 이전하는 세종 행정수도 이전 법안도 추진되고 있다.
이 대표가 지난 대선에서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을 공약으로 내걸었던 데다, 정권 교체가 이뤄진다면 용산 대통령실 이전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민주당에서 우세한 만큼 보다 구체적인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세종지역 또한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원외 후원 및 단체의 지지 성명이 잇따르고 있다.
국민주권전국회의(노종용, 세종충남상임대표), 더민주혁신회의(김수현, 세종상임대표), 더명(김용찬, 세종상임대표), 잼잼산악회(고준일, 세종상임대표), 잼잼자원봉사단(문형대, 상임대표) 등 친 이재명계의 5개 원외단체는 지난 8일 성명을 통해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실 이전 등을 골자로 한 '신행정수도특별법' 재추진에 전폭적인 지지를 선언했다.
이어 조국혁신당 세종시당도 9일 '대통령 집무실은 용산도 청와대도 아닌 세종시여야 한다'는 제하의 성명을 통해 "대한민국은 지금 중대한 전환의 갈림길에 서 있다. 수도권 과밀화, 과도한 경쟁, 사회적 불평등, 지방 소멸이라는 구조적 문제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국가적 위기"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세종시를 대한민국의 실질적 행정수도로 완성하는 것, 그리고 2025년 6월 3일 선출되는 새 대통령이 세종시에서 집무를 시작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종시는 이미 국무회의실, 주요 행정부처, 다수의 공공기관이 집중되어 있고, 교통·통신·보안 등 집무에 필요한 기반 시설 역시 국가 최고 수준으로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오는 6월 3일 선출되는 새 대통령이 세종시에서 집무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
반면, 대통령실 세종 이전은 현실적으로 시기상조라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누가 되었든 인수위원회도 없이 대통령이 6월 4일부터 집무를 봐야하는 상황에서 두 달 이라는 짧은 시간에 세종에서 집무를 시작한다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는 것.
민주당 내에도 임기 후반기에라도 세종시에 대통령실을 두고, 세종에서 집무를 시작한 첫번째 대통령이 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수도권 의원을 중심으로 “우선은 용산으로 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라며 “이후 세종 직행이든 청와대로 복귀 후 세종행이든 목표를 정해야 할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이 같은 흐름 속에 '대통령실 세종 이전'은 충청권 표심을 가를 주요 대선공약으로 다시 급부상할 가능성이 커졌다. 다만, 매번 선거 때마다 단골메뉴로 등장한 공약이 아닌 보다 구체화된 로드맵을 어떤 후보가 제시할 지도 관전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