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채성 의장"세종 연구 성과, 대전보다 부실하다 느꼈다"
4대 의회 첫 직권상정...야당 의원 공감 끌어낼지 주목

임채성 세종시의회 의장이 3일 기자회견을 갖고 올 한해 주요 의정활동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권예진 기자
임채성 세종시의회 의장. /사진=디트뉴스DB

최민호 세종시장과 야당 시의원 간 줄다리기를 이어가던 '세종평생교육정책·연구원 조례안'에 대해 임채성 세종시의장이 직권상정을 예고했다.

해당 안건을 두고 갈등구조를 이어갔던 여소야대 세종시의회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임채성 세종시의장이 직권상정을 예고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4일 세종시의회에 따르면 오는 5일 제97회 세종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의 의장제의로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평생교육정책·연구원 설립 및 운영 조례안’이 예고됐다.

임채성 의장은 진작부터 직권상정을 암시해왔다. 지난달 27일 열린 제97회 임시회 의정브리핑에서 임 의장은 “대전세종연구원 연구의 주된 내용이 대전이 되다 보니 지금까지 문제가 있었다. 예산 출연금이나 연구 성과에 있어서 세종이 대전보다 상대적으로 미약하고, 내용도 좀 부실한 면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난 7월부터 행정복지위원회에 해당 조례가 올라왔지만, 부결됐고, 최근 96회 임시회 때 부결됐지 않았나”라며 “그런 상황에서 대전이 3월 임시회를 통해 대전세종연구원을 분리시키는 방향성을 잡고 있다. 그 때문에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의장 직권 상정을 심도 있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렇듯 의장이 직권상정을 하게 될 경우 해당 안건에 대해 상임위원회를 거치지 않고 바로 본회의에서 처리하게 된다. 이후 출석의원 과반수 찬성하면 통과 여부가 결정되고, 누군가 이의를 제기할 경우에는 기명투표로 진행된다.

현재 세종시의회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13명, 국민의힘 소속 7명으로 구성됐다. 국민의힘 의원이 해당 조례안에 전원 찬성한다는 전제하에 민주당 의원은 최소 4명 이상이 조례안에 찬성해야 본회의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임채성 의장은 <디트뉴스>와 통화에서 “반대하셨던 의원님과 얘기를 나눴으나, 동의를 하시는 분도 계시고 여전히 강성으로 반대하시는 분도 계신다”면서도 “의장 권한으로 직권 상정을 결정한 것이고, 이후 절차에 따라 진행될 것이니 지켜봐 달라”고 짧게 답했다.

세종시의회 4대 후반기 의장을 맡은 임채성 의장은 임기 초부터 집행부와의 갈등이 곧 정당 간의 갈등 구조로 비춰지면서 비판과 부담을 짊어지게 됐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시의원은 4일 오후 4시 의원 총회를 예정한 상태인데, 이 자리에서 직권상정 결정에 대한 야당 의원의 공감을 끌어내고 직권상정을 통과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편 5일 진행될 97회 1차 본회의는 이순열, 최원석, 안신일, 홍나영, 여미전, 박란희 의원의 5분 자유발언과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 기간 결정의 건, 세종특별자치시 평생교육 진흥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등이 본회의에 상정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