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갯골·어장 등 갯벌 45㎢ 정보 17종 담아…드론·AI 활용
도 공간정보시스템 탑재·국가 디지털트윈 데이터와 연계 업무 활용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지정, 세계자연유산 등재 기초자료 활용
충남도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서산 가로림만을 체계적으로 보존·활용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디지털 갯벌 지도를 구축했다.
갯벌지도는 드론·AI 활용 디지털 갯벌정보 구축·활용 사업은 지난 4월 국토부 주관 공모에서 혁신성·효과성 등을 인정받아 선정된 우수사례로, 국비 지원을 받아 7월부터 서산과 태안 가로림만 일대 갯벌 45㎢를 담아 냈다.
가로림만을 촬영한 고해상도 드론 영상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분석 등 신기술을 활용해 3차원(3D) 공간 정보를 구축했다. 간석지 △백사장 △간출도로 △갯골 △갯벌 시설물 △어장 경계 △해안가 토지정보 등 17종의 갯벌 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도는 구축한 갯벌 정보를 충청남도 공간정보시스템에 탑재해 해양·어업·토지 등 관계기관이 다양한 업무에 활용토록 제공하고, 국가 디지털트윈 데이터와도 연계해 정책결정 시에도 참고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 중부지방해양경찰, 도 소방본부와 협업해 해루질 등 갯벌·해안가 안전사고 발생 시 긴급 출동 이정표로 쓸 수 있는 해안안전지도를 제작하는 데에도 해당 자료를 활용할 예정이다.
아울러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지정, 세계자연유산 등재 등 핵심 업무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임택빈 도 토지관리과장은 "이번 사업은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갯벌 생태계 보존과 해안가 토지 관리, 안전사고 예방 등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하나의 혁신 행정 사례”라면서 “연차 사업으로 가로림만 잔여 지역 정보 구축을 마무리하고 도내 갯벌 전역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사업은 도 토지관리과 무인항측팀이 직접 드론으로 촬영해 2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절감하는 효과를 거뒀고, 목표 과업량보다 1.6배 많은 정보를 구축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