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원구성 공전, 우원식 의장 “주말까지 협상 종료” 최후통첩

여야가 22대 국회 전반기 원구성을 두고 여전히 공전하고 있다. 국민의힘이 쟁점 상임위를 1년씩 번갈아가며 맡자고 제안하자, 더불어민주당은 1년간 대통령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를 안할 경우 검토하겠다고 응수했다. ⓒ황재돈 기자.
여야가 22대 국회 전반기 원구성을 두고 여전히 공전하고 있다. 국민의힘이 쟁점 상임위를 1년씩 번갈아가며 맡자고 제안하자, 더불어민주당은 1년간 대통령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를 안할 경우 검토하겠다고 응수했다. ⓒ황재돈 기자.

[황재돈 기자] 여야가 22대 국회 전반기 원구성을 두고 여전히 공전하고 있다. 국민의힘이 쟁점 상임위를 1년씩 번갈아가며 맡자고 제안하자, 더불어민주당은 1년간 대통령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를 안할 경우 검토하겠다고 응수했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9일 취재진과 만나 “법사위와 운영위를 1년은 민주당이, 다음 1년은 국민의힘이 맡자”며 “마지막 제안이다. 전향적 검토와 수용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추 원내대표는 이어 “지금까지 민주당은 여러 제안을 거부했다”며 “협치는 대화와 양보 과정을 거치기에 또 수정 제안을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운영위를 여당이 맡아온 관례에 따라 운영위라도 여당 몫으로 환원시켜달라고 제안했지만 민주당이 거부했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추 원내대표 제안에 “협상안을 내놓으라고 했더니 협잡을 하자고 하면 되겠느냐”며 거부 반응을 보였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총선 민심은 윤석열 정부 실정을 야당 중심으로 제어해 국정을 정상화하라는 것”이라며 “법사위와 운영위는 필수다. 애초부터 거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추 원내대표 제안을 검토하려면 조건이 필요하다”며 “윤 대통령이 향후 1년간 국회를 통과한 법안에 거부권을 사용하지 말고 즉시 공포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여야 지도부에 이번 주말까지 원구성 협상을 마무리해달라고 최후 통첩했다. 

우 의장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최종시한을 6월 임시국회 일정에 차질을 빚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양당이 소속 의원 마지막 총의를 모을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했다”며 “이번 주말까지 원구성 협상을 종료해 달라고 최종 통지했다”고 밝혔다. 

우 의장은 “6월 임시회 회기는 다음달 4일까지다. 회기 내 국회법이 정한 교섭단체 대표연설과 대정부질문을 마치려면 시간이 촉박하다”며 “하루가 아까운 시기에 뜻을 모으고 협상에 임해달라”고 요청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