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8기 대전시 공약, 국토부 계획 반영 2년 만
대전 통과 18.6km 구간, 왕복 4→6차로 확장
[한지혜 기자] 민선8기 대전시 숙원 사업인 ‘호남고속도로 지선 확장’ 사업에 청신호가 켜졌다. 반대로 강력한 의지로 밀어붙였던 '지하화' 과제는 잠정 무산 수순을 밟는다.
시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2024년 제3차 재정평가위원회를 열고, ‘호남고속도로 지선 확장’ 사업을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했다. 2022년 2월 국토교통부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021~2025)’에 반영한 이후 약 2년 만이다.
호남고속도로 지선은 국가간선도로망 남북 4축에 포함된 노선이다. 경부고속도로 회덕JC에서 서대전JC까지 대전 통과 총길이 18.6km 구간을 왕복 4차로에서 6차로로 확장하는 사업이다. 사업비는 3697억 원, 완공 시기는 오는 2033년이다.
해당 구간은 현재 출·퇴근, 주말 상습 지·정체 구간으로 꼽힌다. 서울~세종 고속도로가 개통하는 2025년이면 혼잡도가 더 심해질 거로 전망하고 있다.
시는 확장 사업과 함께 정부에 호남지선 유성분기점~유성IC~서대전분기점 일부 구간을 지하화하는 안을 거듭 건의했다. 이 시장도 올해 대통령 민생 토론회, KTX 20주년 기념행사 등 두 차례에 걸쳐 윤 대통령을 만나 해당 현안 해결을 적극 요청한 바 있다.
호남지선 지하화는 유성구 교촌동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예정지역 도시개발 필수 요건으로 꼽힌다. 지선이 남북으로 지나는 산단 예정지는 동·서로 분리될 수밖에 없게 된다. 지하화 없이 효율적인 도시 개발이 어려운 요건을 갖고 있다.
지하화 예산도 2조 원 대로 막대한 수준이다. 예타 면제 사업으로만 추진이 가능한 상황이어서 난항이 예상된다.
시 교통건설국 관계자는 “호남고속도로 지선 확장은 2017년 한차례 예비타당성조사에서 고배를 마셨던 사업”이라며 "지하화 사업은 국토부 제3차 고속도로건설계획에 아직 미반영한 내용이다. 현실적 어려움이 있지만, 정부에 지속적으로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