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 뒤 완성되는 '행정수도' 숙제 당면
민주 텃밭 세종시의 유일한 민주당 국회의원
지역 현안 수두룩...공약 이행율 숙제도 여전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당선자가 지난 10일 개표방송을 보며 미소짓고 있다. 사진 정은진 기자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당선자가 지난 10일 개표방송을 보며 미소짓고 있다. 사진 정은진 기자

[특별취재반 정은진 기자] 4·10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한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민주 텃밭인 세종시에서 유일한 민주당 국회의원인 강 당선인의 역할론에 힘이 실리고 있다. 지역 현안 해결부터 행정수도 완성까지 앞으로 가야 할 길이 첩첩산중이기 때문이다. 

가장 먼저 풀어야 할 숙제는 국가균형발전의 초석을 다지는 세종시 완성이다. 저출산, 지방소멸 등 국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행정수도 완성은 시급한 숙제다. 다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행정수도를 상징하는 국회 세종의사당 완전 이전과 대통령 제2집무실은 지연되거나 선거철 카드로만 쓰이고 있는 현실이다. 또 중앙행정기관 지방 이전도 여전히 미지근한 상황이다.

실제 제22대 총선 기간,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윤석열 대통령은 '국회 완전 이전·대통령 세종 집무실 설치' 카드를 수면 위로 끌어 올렸다. 일각에선 '총선용 당근'이라는 비판 어린 시각도 존재하나 강 당선인은 이를 흡수할 의지를 보였다. 

이에 강 당선인은 11일 새벽 당선이 확실시되자 "여당 비대위원장이 최근 약속한 국회 완전 이전은 대찬성”이라 긍정하며 “말로만 끝날 일이 아니라 개헌을 통해서 행정수도를 명문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행정수도 완성' 공약은 강 당선인의 선거공보물에도 담겨있다. 그는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를 만드는 공약을 전면에 내걸고▲국회세종의사당·대통령 제2집무실 조기착공 ▲세종지방법원 설치 ▲행정수도 명문화 개헌 추진 ▲세종시 재정특례 연장 등을 약속했다. 

이제 세종시 완성기는 2030년, 즉 6년밖에 남지 않았다. 강 당선인은 이 기간, 선거 운동 중 강조했던 '힘 있는 재선의원'의 면모를 증명해야 한다. 행정수도 세종 완성이 한낱 공염불에 끝나지 않도록 밀어붙이는 힘도 보여줘야 한다. 

세종시 국회세종의사당 예정부지. 사진 정은진 기자
잠자는 세종시 국회세종의사당 예정부지. 사진 정은진 기자

물론 세종시 국회의원이 강 당선인만 있는 것은 아니다. 홍성국 의원의 불출마와 이영선 민주당 세종갑 후보가 투기 의혹이 불거지며 세종갑 자리는 김종민 당선인의 몫이 됐다. 다만 그는 새로운미래 소속으로, 민주당 텃밭이라 불리는 세종시에서 어떤 능력을 보여줄지는 미지수다. 그가 민주당 탈당 과정에서 겪은 진통도 무시할 수 없다. 

강 당선인에 실린 '역할론'은 이 점에서 비롯된다. 세종시의 전신인 연기군 태생인 그는 시의 유일한 민주당 국회의원으로, 지역의 현안과 이해도가 높을 것이란 시민 기대감이 있기 때문이다.

비단 행정수도 완성 뿐 아니라 세종시는 각종 현안을 안고 있다. 대표적인 문제는 ▲교통 불편 ▲KTX 세종역 설치 ▲투기 논란 해소 ▲공실상가 해결 ▲자족기능 저하 ▲읍·면 불균형 해소 ▲문화시설 부족 등이다. 강 당선인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각종 공약을 내걸기도 했다. 

다만 우려되는 점은 초선시절 미약했던 공약 이행율이다.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에 따르면 그의 공약 완료율은 27.8% 밖에 되지 않는다. 초선 시절 내놓은 공약은 총 79개로, 완료 공약은 22개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일각에서는 재선 중에도 '말잔치'로 끝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내놓기도 한다. 

한 시민사회 관계자는 "강 당선인은 게으르다는 일각의 평가를 극복하고 '힘 있는 재선의원'을 증명하려면 이번엔 불철주야 세종시를 위해 뛰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의견을 전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