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톡톡: 백 여든아홉번째 이야기] 천안 설립은 공약이고, 공약은 지키려고 하는 것이다

자료사진.
자료사진.

육군사관학교 충남(논산) 이전, 충남(서산) 공항 건립, 국립 경찰병원 분원(아산) 설립. 윤석열 대통령이 후보자 시절 충남에 한 약속들이다. 이중 지켜진 건, 국립 경찰병원 분원뿐이다. 그것도 공모로 전환했다 겨우 건졌다. 육사 이전과 충남 공항 건립은 ‘세월아 네월아’다. 

‘투 플러스 원’으로 ‘국립 치의학연구원 설립’도 있다. 이 역시 윤 대통령이 천안시에 한 공약이다.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치의학연구원 설립 근거 법안(보건의료기술 진흥법 개정안)이 통과됐다. 이변이 없는 한, 9월 정기국회 처리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법안 통과가 곧 천안시 설립을 담보하는 게 아니라는 데 있다. 

법안에는 연구원 역할과 목적, 국가 지원 등만 명시하고 있을 뿐, 어느 지역에 둔다는 내용은 눈을 씻고 봐도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구도, 광주도, 부산도 눈독을 들이는 것이다. 아무리 대통령 공약이라도 깜빡 잘못하면 눈뜨고 코 베는 수 있다는 얘기다. 

충남도와 천안시는 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총력전을 펴겠다고 한다. 당연한 일이다. 대신, 추진위만 믿고 어설피 덤볐다간 죽도 밥도 안 될 수 있다. 올해 초 추진위를 만들어 호기롭게 도전했다 낭패를 본 ‘재외동포청’ 유치 실패를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

도와 시는 오는 7일 천안시청에서 치의학연구원 설립을 촉구하는 대규모 결의대회를 열 예정이다. 결의대회만 대대적으로 할 게 아니다. 국회 상경 투쟁을 비롯해 지역 정치권의 캠페인과 토론회, 범도민·범시민 서명운동이 필요하다. 대전과 세종, 충북 등 충청권도 지원 사격해야 한다. 그래도 될까 말까다. 

국회 본회의에서 법안이 최종 통과하면 대구와 광주, 부산은 죽기 살기로 유치전에 뛰어들 게 뻔하기 때문이다. 어쩌면 충청과 영호남이 ‘박’터지는 경쟁을 벌여야 할지 모른다. 그건 국민통합과 지역 균형발전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불필요한 소모전과 지역 갈등만 초래할 뿐이다. 

윤 대통령이 국립 치의학연구원 설립에 직접 나서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치의학연구원 천안 유치는 나의 대선 공약이다. 해당 부처는 즉각 시행하라”고 지시하면 될 일이다. 여기에 토를 달 지역은 없을 것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통령에 출마해봤기 때문에 대선 공약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잘 알 것이다. 대선 공약을 가볍게 여긴다면, 차기 대권에서 충청도가 그를 찍어줄 것 같나. 부산 역시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와 성공 개최를 위해선 충청도 협조가 필요한 곳이다. 광주는 이미 윤 대통령 공약인 군 공항 이전이 예타 면제로 수혜를 입었다. 

그러니 윤 대통령은 이 눈치 저 눈치 볼 것 없다. 윤 대통령은 지난 대선에서 ‘충청의 아들’을 내세워 표를 가져갔다. 그러고도 이제껏 충남 공약 중 무엇 하나 속 시원히 해결한 게 없다. 국립 치의학연구원 설립은 윤 대통령이 결자해지해야 한다. 대통령의 대선 공약은 국민(도민)과 약속이고, 약속은 지키려고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