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5개 지자체 접수·경쟁서 '고배'
산‧학‧연‧관 협력, 자체 육성 사업 대안
[한지혜 기자] 대전시가 정부 국가첨단전략산업 반도체 특화단지 공모에서 탈락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를 주재하고, 반도체(2곳), 이차전지(4곳), 디스플레이(1곳) 등 7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를 발표했다.
앞서 대전시는 기존 대덕연구개발특구 3500여 만㎡와 지난 3월 확정된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후보지 530만㎡를 묶어 공모에 접수했다.
특화 장점으로는 대덕특구 내 자리한 소부장 기업,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나노종합기술원 등 정부 출연연 연구개발 역량, 지역 대학과 KAIST를 활용한 전문 인재 양성 등을 내세웠으나, 고배를 마셨다.
반도체 인큐베이터 분야로는 경기도 용인·평택, 경북 구미, 이차전지 특화단지에는 충북 청주, 경북 포항, 전북 새만금·울산이 육성 대상지로 각각 선정됐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거점으로는 충남 천안·아산이 이름을 올렸다.
지자체 경쟁 과열, 추가 동력 확보 절실
시는 대안으로 산‧학‧연‧관 역량을 모아 자체 육성 방안을 시행할 방침이다. 하지만, 전국 다수 지자체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가 어떻게 두각을 나타낼 수 있을지 의구심도 상존한다.
또 지난 3월 선정된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후보지 조성 사업을 앞두고 추가적인 동력 확보에 실패하면서 사업 속도와 완성도를 높일 추가 전략 마련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한선희 시 전략사업추진실장은 정부 발표 직후 언론과 만나 “선정 지역을 보면 이미 관련 대기업이 있고, 대외적으로 투자 계획도 나온 곳"이라며 "현실적인 부분이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고 원인을 분석했다.
한 실장은 “앞으로 대전도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내에 앵커 기업을 유치·육성하고, 여건이 성숙해지면 유리한 측면이 생길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정부 바이오 분야 추가 특화단지 공모 계획이 예정돼있고, 이번 공모도 추가 지정 가능성이 있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인허가 처리 시간 단축, 산업단지 기반시설 구축 지원 등 혜택이 주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