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석리 침수 원인은 원활하지 않은 '배수 처리'
김 지사, 저석리 펌프장 용량 추가 설치 약속
'피해 보상' 주소지, 소유주 기준 아닌 '실경작지' 기준 검토
[부여=디트뉴스 김다소미 기자] 부여 농민들이 이번 농작지 피해 원인으로 농어촌 용수와 농지를 관리하는 ‘농어촌공사’가 제때 역할을 하지 않아 피해가 더 커진 것으로 진단하고 펌프장 추가 설치 등을 요구했다.
박정현 부여군수도 16일 오후 부여 침수 피해 농작지를 찾은 김태흠 충남지사에게 농작지 피해와 관련해 농어촌공사에 책임을 묻고 기관 해체와 더불어 각 지자체에 관련 업무를 귀속시켜야 한다고 강변했다.
대표적 농업 도시인 부여군은 이번 폭우로 막대한 농작지 피해를 입었다.
시설하우스는 254농가, 127ha에 달하는 면적이 침수되고 농경지는 14농가, 6.6ha가 유실되거나 매몰됐다. 수도작 등 기타 작물은 345농가, 285.5ha가 물에 잠겼다.
현재까지 대략적으로 집계된 수치이며 잠시 소강상태로 접어든 폭우가 완전히 그치고 정확한 집계가 이뤄지면 그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저석리 농민들 “집 앞까지 다 잠겨”...고립됐다가 간신히 탈출
침수 원인은 원활하지 않은 ‘배수처리’...김 지사 “저석리 배수장 증설 우선권 줄 것”
김태흠, 해당 농작지 “농사 부적절”...대토 방안 검토 지시
박정현 “펌프장 용량 먼저 키워야”...농어촌공사 강력 비판
박 군수와 김 지사는 이날 부여에서 농작지 침수 면적이 가장 넓은 정동·자왕 지구(저석리)를 방문해 피해 현황을 공유하고 펌프장 추가 설치를 비롯, 영구적으로 홍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약속했다.
이곳에서 수십년간 농사를 지은 농민은 “집 앞 논에 물이 다찼었는데 군하고 소방서가 보트를 타고 구조하러 와줬다. 간신히 대피해서 살 수 있었다”며 폭우 당시 긴박했던 상황을 전했다.
금강 본류에 해당되는 곳은 부여읍, 석성·장암·세도면으로 금강 본류지역은 대청댐 방류와 관련해 화상 수위 10.6m가 최고 심각단계인데 10.2m까지 상승했고 16일 오후 1시 기준 3m이상이 빠진 상태다.
박 군수는 저석리의 상황에 대해 “본류가 높아졌을 때 배수 펌프 능력이 상실되고 급격하게 물이 유입되면서 최대 40시간 동안 물이 안빠졌다. 현재까지도 물이 빠지지 않은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현장을 함께 찾은 다른 농민은 김 지사에게 대용량을 처리할 수 있는 배수장 건립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현재 있는 것은 용량이 너무 적다”며 “(해당 업무를 처리하는) 농어촌공사는 수로를 하나 바꿔달라고 요청해도 돈이 없다고 안해준다”고 토로했다.
김 지사는 “용량을 키우는 건 어렵지 않다. 이번처럼 (집중적으로) 비가 많이 내리면 배수장을 키워도 별 차이가 없을 수 있다”며 “영구적으로 침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 마련이 우선돼야 한다”고 답변하며 해당 지역처럼 배수 안되는 농작지는 “군이 나서서 대토를 해줘야 한다”고 했다.
이에 박 군수는 “(대토 등) 농지 관리는 농어촌공사 소관이다. 농식품부와 농어촌공사에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 전수조사가 필요하다”며 “(농어촌공사와 도는) 당장 펌프장을 추가 설치해 우선적으로 여기 있는 분들이 맘편히 농사지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충남도의회 김민수(더불어민주당·부여) 의원도 “농어촌공사가 관할하는 구역이 있는데 관리가 제대로 안되는게 현실”이라며 “배수펌프장이 제때 가동되지 않고 수문들도 관리 안된 곳들이 많다”고 했다.
이에 박 군수는 “상당 부분 지자체와 업무가 중복되는 농어촌공사를 해체하고 관련 업무는 지자체에 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저석리 지역은 공사 관할 구역이 아니"라고 밝혔다.
박 군수 ‘피해보상’ 경작지 기준으로 지급해야...“道 차원 교통정리 필요”
김 지사, 현장서 담당 직원 향해 ‘실태조사’ 지시...“각 시군에게 지침 내릴 것”
부여에 주소지를 두고 인근 청양군 청남면에서 농사를 짓는 한 농민은 “이번에 피해를 입었다. 근데 실제 주소지와 경작지의 지자체가 달라 서로 못해준다고 한다”며 “4대강 사업때 농사지을 땅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청양으로 간 것”이라고 성토했다.
김 지사는 “직불금도 그런 문제로 혼란스럽다. 농사짓지 않는 소유자가 가져가는 구조이기 때문”이라며 “경작지를 기준으로 지급하는 보상안이 합리적”이라고 했다.
박 군수도 “충남도 차원의 교통정리가 필요하다. 부여사람들이 인접지인 청양군, 서천군, 전라북도까지 가서 농사를 짓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동행한 담당 직원에게 각 시군별 해당 사례가 얼마나 되는지 파악하고 실태조사를 통해 방향지침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