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D-1년 특집 ①] 현역 의원 교체론 확산에 ‘공천 쟁탈전’ 예고
내년 4월 10일 치러지는 제22대 총선이 1년 앞으로 다가왔다. 내년 총선은 출범 3년 차로 접어드는 윤석열 정부의 ‘중간 평가’ 성격이 강하다. 동시에 정국 주도권 향배를 좌우하는 변곡점인 될 것으로 보여 여야의 사활을 건 ‘한판 승부’가 예상된다.
특히 내년 총선은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운영이 한층 힘을 받느냐, ‘조기 레임덕’에 빠지느냐의 일대 기로가 될 전망이다. 집권 여당인 국민의힘은 정부 입법 추진 등 국정 동력 확보를 위한 ‘정권 안정론’을, 거대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정권 심판론’으로 격돌할 것으로 보인다.
<디트뉴스>는 총선 D-1년을 맞아 연속 보도를 통해 충청권의 주요 총선 관전포인트와 예상 쟁점, 민심을 살펴 지역 유권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편집자 주.
[류재민 기자] 충청권은 국민의힘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에 국민의힘이 얼마나 약진할 것인가가 관전 포인트로 꼽히고 있다. 국민의힘은 지난해 대선과 지방선거를 연달아 승리하며 중앙과 지방 권력 교체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현재 충청권 국회 의석은 민주당이 대전(7석)과 세종(2석) 모두를 쥔 상태이며, 충남은 11개 지역구에서 국민의힘과 민주당이 각각 5석씩(무소속 1석) 동수를 이루고 있다.
여야 현역 의원들은 내년 총선에서 재공천을 받기 위해 지역구 관리 등 표밭 다지기에 분주한 상태. 이들은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국비 확보 등 그간의 의정 활동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며 조직 다지기에 집중하고 있다.
충청권 10명 중 7명 “새 인물로 바꿔야”
커지는 물갈이론에 현역 의원 긴장 고조
하지만, 총선을 앞두고 ‘현역 물갈이론’이 확산하면서 현역 의원들을 바짝 긴장시키고 있다.
뉴시스가 국민리서치그룹과 에이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27~29일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현역 의원이 출마할 경우 어떻게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59.9%가 ‘새 인물로 바뀌는 것이 좋다’고 답했다.
반면 ‘재당선 되는 것이 좋다’는 답변은 31.2%에 그쳤다. 충청권의 경우 ‘현역 교체론’이 응답자 중 67.6%로, 전북·광주·전남(68.5%)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유권자 10명 중 7명 가까이 ‘새 인물’로 교체를 바라고 있는 셈. (자세한 조사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4년 전 같은 무렵 조사에서 현역 의원 재당선을 기대하는 의견이 40% 중후반대였고, 그대로 공천으로 이어졌던 점과 대조적이다.
앞서 지난 21대 총선 당시 불출마·컷오프·경선 탈락 등으로 교체된 지역구는 전체 20곳 중 15%에 해당하는 3곳(세종·충남 천안갑·천안병)에 그쳤다. 또 현역 의원 당선율은 17개 지역구에서 14명(82.4%)에 이르렀다.
“한 게 뭐 있나” 다선 중진에 비판 여론
“지역민 피로감 누적에 새 인물론 부각”
“여야, 공천 고민 불구 인위적 물갈이 어려울 것”
지역 정치권에선 현안 해결에 중진 다선 의원들의 정치력과 존재감이 약하다는 비판적 여론도 물갈이론을 부추기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희성 단국대 교수(정책경영대학원)는 9일 <디트뉴스>와 통화에서 “그동안은 다선 의원이 부족해 영호남에 비해 정치력이 약하다는 여론이 작용했다. 하지만 재당선 이후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지역민들의 피로감이 누적된 상태고, 반대급부로 새 인물론이 부각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70%에 육박하는 현역 교체론에 여야 모두 공천에 고민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다만, 시스템 공천에 따라 인위적인 물갈이는 어려울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선에서 이기는 형태의 공천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22대 총선 예비 후보자 등록은 오는 12월 12일 시작하며, 총선에 출마하려는 지방자치단체장과 장관 등 공직자는 내년 1월 11일까지 사직해야 한다. 이어 내년 3월 21∼22일 후보자 등록을 받은 뒤 같은 달 28일부터 선거운동 기간이 시작된다. 4월 5∼6일 사전투표, 10일 본 투표를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