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변이 확산 속 ‘정권 유지냐, 교체냐’ 민심 기로

올해 설 명절은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조용한 연휴’를 보내려는 분위기가 짙다. 지난해 설과 추석에 이어 ‘언택트(비대면) 명절’이 이어질 전망이다.
올해 설 명절은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조용한 연휴’를 보내려는 분위기가 짙다. 지난해 설과 추석에 이어 ‘언택트(비대면) 명절’이 이어질 전망이다.

[류재민 기자] 올해 설 명절은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조용한 연휴’를 보내려는 분위기가 짙다. 지난해 설과 추석에 이어 ‘언택트(비대면) 명절’이 이어질 전망이다. 

양승조 충남지사는 지난 27일 ‘도민 담화문’을 통해 “고향을 방문해 주변인을 위험에 빠뜨리게 될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불안하고 위험한 연휴가 아닌, 안전하고 안정된 만남이 이뤄질 수 있도록 시기를 미뤄 달라”고 당부했다.

허태정 대전시장 역시 “오미크론 확산 가속화를 감안해 대전시는 모든 준비를 마쳤지만, 설 연휴를 맞아 지역 간 이동에 따른 유행 재급증이 우려된다”며 “마스크 쓰기와 개인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당분간 만남을 자제해 달라”고 호소했다.

지자체, 명절 방역수칙 준수·만남 자제 ‘호소’
정치권 ‘민심 바로미터’ 명절 승부수 던져

올해 설 명절 주요 정치 이슈는 40여일 앞으로 다가온 대선과 대선 이후 치러질 지방선거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여야 주요 대선 후보.
올해 설 명절 주요 정치 이슈는 40여일 앞으로 다가온 대선과 대선 이후 치러질 지방선거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여야 주요 대선 후보.

다만, 정치권은 이번 명절이 양대 선거(대선·지방선거) 앞둔 민심의 ‘바로미터’가 될 것으로 보고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여야는 40여 일 앞으로 다가온 대선에서 ‘정권 유지냐 교체냐’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할 전망이다. 

특히 지역 정치권은 이번 대선 결과가 6월 지방선거까지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지역 민심잡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 대선 전까지 지방선거 출마 예정자가 예비후보 등록 등 선거운동을 하지 않기로 결의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런 가운데 대전지역의 경우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내놓은 ‘항공우주청 경남 입지’와 방위사업청(방사청) 이전 공약을 놓고 여야가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대전 항우청 입지’ 뜨거운 여야 정치 공방
대전 온 이준석 “尹 경남 입지 공약 용기” 두둔
허태정 “용기 아니라 충청 홀대 선언” 발끈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지난 27일 대전 미래정치아카데미 특강을 통해 윤석열 후보의 항공우주청 경남 입지 공약을 두둔했다.

이 대표는 “(항공우주청 대신 방위사업청을 대전에 이전하겠다는 윤 후보 제안이) 훨씬 더 현실적인 제안인데, 이런 이야기를 하기 위한 용기는 안 할 수 있다고 하는 용기에서부터 시작한다”며 “다들 두려워하면서 걱정 많아서 하지 못하는 것들을 속도감 있게 할 수 있는 용기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방사청이 오면 세계적인 방산 기업이 대전을 찾고, 기존 기업들도 충청권을 기반으로 확장하려 할 것”이라고도 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27일 대전 방문 중 특강에서 항공우주청 경남 입지와 방위사업청 대전 이전을 공약한 윤석열 대선 후보를 두둔했다. 이에 민주당 소속 허태정 대전시장은 "충청권을 홀대하겠다는 선언"이라며 맞대응에 나섰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27일 대전 방문 중 특강에서 항공우주청 경남 입지와 방위사업청 대전 이전을 공약한 윤석열 대선 후보를 두둔했다. 이에 민주당 소속 허태정 대전시장은 "충청권을 홀대하겠다는 선언"이라며 맞대응에 나섰다.

민주당 소속인 허태정 시장은 이 대표 발언을 겨냥해 “제1야당의 대표가 대전시민을 분노케 한다”고 반발했다.

그는 지난 28일 밤 페이스북에 “우주청을 경남에 설치하겠다는 야당 대선후보의 공약이 용기라고 말한다”며 “이 공약은 행정수도 이전에 따른 행정기관 배치 원칙을 훼손하겠다는 선언이다. 용기가 아니라 충청권을 홀대하겠다는 선언”이라고 맞대응했다.

허 시장은 “방사청 이전으로 본질을 호도하면 안된다. 기존 청 단위 기관을 이전하던, 새로운 행정청을 만들던 이 원칙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며 “대전시민에 대한 무시를 용기라고 말한 사람에게 대전시민은 무시 받지 않을 용기를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여야 대선 후보의 공통 공약인 세종시 대통령 집무실 설치를 비롯해 충청권 메가시티, 광역철도망 등도 설 연휴 기간 주요 정치 이슈로 밥상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 이슈 뒷전 ‘대선 올인’에 우려도
“항우청, 충청홀대 이슈 시민 관심 크지 않을 것”
“설 민심 향배, 대선 후보자 토론에 영향”

하지만 지역 정치권이 ‘대선에 올인’하고 있는데 우려도 만만치 않다. 지역 이슈가 대선 이슈에 잠식되면서 지방선거 출마 예정자의 도덕성과 공약 등 검증이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이희성 단국대 교수는 29일 <디트뉴스>와 통화에서 “설 민심은 대선 공약 등 정책보다는 친인척문제, 부동산문제 등 외적인 부분에 집중되고 지역발전 공약은 묻힐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민주당은 항공우주청, 국민의힘은 현 정부의 ‘충청홀대론’을 이슈화하겠지만 일반 시민들의 관심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지역 설 민심의 향배는 대선 후보토론 결과에 따라 자질론과 도덕성 등으로 쟁점화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