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예산 갈등에 “서로 예의 지켜야” 화합 강조
“충남도, 홍성역세권 개발 삽교역 때처럼 해야”

김석환 홍성군수가 13일 군청 회의실에서 신년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 황재돈 기자.
김석환 홍성군수가 13일 군청 회의실에서 신년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 황재돈 기자.

[황재돈 기자] 김석환 홍성군수가 서해선 고속철 ‘삽교역 신설’로 촉발된 예산군과 갈등에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역사 신설에 “더 이상 반대하지 않는다”고 밝히면서도 추가 갈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주의해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특히 김 군수는 충남도를 향해 '나를 따르라 식'의 일방적 행정을 지적하는 동시에 양 시·군이 갈등을 겪지 않도록 '형평성 있는 행정'을 주문했다. 

김 군수는 13일 홍성군청 회의실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삽교역 신설’ 관련 <디트뉴스> 질문에 “(삽교역 신설이) 결정된 만큼 왈가불가하면 양 군간 갈등만 발생한다”며 언급을 자제했다.

하지만 ‘삽교역 신설’ 절차와 관련해선 아쉬움을 숨기지 않았다. 김 군수는 “삽교역 신설과 같은 철도사업은 국가사업으로 진행된다”며 “서해선 고속철을 계획할 때부터 삽교역은 장래역으로 지정됐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어 “(장래역은)내포신도시가 성장해 역사를 신설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 만들겠다는 것”이라며 “하지만 도는 정부가 B/C(비용대비편익)가 낮아 국비지원을 못하겠다는 것을 지방비와 들여 해 달라고 했다”고 지적했다. “국비 지원 없이 지방비로 (역사 신설을) 추진하는 것에 ‘왜 서두르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도청 인근에 위치한 홍성역이 충남혁신도시(내포신도시) 교통수요를 감당할 수 있음에도 굳이 새 역사를 신설하고, 지역민 혈세를 투입해야 하는가라는 원론적인 문제 제기였다.

“삽교역 명칭 두고 싸우지 말아야"
‘홍성역 역세권 개발’ 충남도 역할 강조


삽교역(서해선) 명칭과 관련해선 “(예산군은)삽교역 신설을 이뤘기에 그 이상 욕심을 내면 안 된다”며 “‘충남도청역’ 명칭을 사용해선 안 된다는 얘기를 도에서 분명히 전달했고, 공문도 받았다”고 밝혔다.

“역명을 갖고 갈등을 일으켜선 안 된다. 저는 홍성과 예산이 함께 발전하고 같이 가는 것을 원하지, ‘콩이냐 팥이냐’를 두고 싸우기 싫다. 서로 예의를 지켜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김 군수의 이 같은 발언은 황선봉 예산군수가 지난 4일 기자회견에서 "양 군의 상생을 위해 삽교역 신설을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받아들이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동시에 예산 지역 민간단체에서 ‘삽교역을 충남도청역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는 것에는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것으로 보여진다.

"일방적 지방비 분담비율 안 돼"
“도가 원하는 사업, 도비 비율 높여야”


김석환 홍성군수가 13일 군청 회의실에서 신년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 황재돈 기자.
김석환 홍성군수가 13일 군청 회의실에서 신년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 황재돈 기자.

김 군수는 기자회견을 마친 뒤 <디트뉴스>와 만나 도비와 시·군비 분담비율에 이견을 표출했다. 도가 추진하는 농어민수당 지급 개선안과 학생무상교육 등에서 시·군비율이 너무 높다는 이유에서다.

김 군수는 먼저 "도는 지방비 분담비율을 3대 7로 정하고 있다. 중요한 사업일 경우 5대 5로 하고 있다"며 "홍성은 역세권 개발사업을 진행 중으로, 삽교역 신설 수준으로 해당사업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가 삽교역사 신설을 중요하게 생각해 도비와 군비 5대 5를 적용한 것처럼, 홍성역세권 개발사업에도 적극적인 행정을 보여야 한다는 의미였다.   

홍성군은 도가 추진 중인 ‘농어민수당 지급 개선안’에 따른 지방비 분담비율에 '반대 입장'을 밝혀 온 시군(홍성·보령·서천) 중 한 곳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해 김 군수는  “농어민수당 분담비율 문제라든지, 학생무상교육 등 도가 먼저 하겠다고 발표하고 일방적으로 분담비율을 강요해선 안 된다”며 “시·군이 원해서 하는 사업이 아닌 도가 추진하는 사업이라면 최소한 5대 5분담은 지켜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특히 "시·군의 재정은 넉넉하지 않다. 때문에 시군비 분담비율을 높이는 것은 지자체에 큰 부담이 된다"며 “사전에 시장·군수 합의를 이루지 못한 상황에서 도가 정책을 일방적으로 발표하고 ‘나를 따르라’는 식의 행정은 더 이상 안 된다”고 일침을 가했다. 

한편, 김 군수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지난해 군정성과로 ▲충남혁신도시(내포신도시) 지정 ▲서해선KTX 서울직결 ▲서부내륙고속도로 동홍성IC건설 ▲장항선 복선전철 ▲기업유치(38개) 등을 내세웠다.

그는 또 올해 7대 핵심과제로 ▲혁신도시 기반 지역균형발전 ▲활력 있고 살맛나는 지역경제 ▲찾고 싶은 문화관광도시 육성 ▲쾌적하고 안전한 행복도시 운영 ▲사각지대 없는 군민중심 보건복지 ▲경쟁력 있는 다기능 농어업육성 ▲행정혁신과 신뢰행정 구현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