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철 교육감 “부서간 협업, 사업정보 공유” 재강조
교육혁신, 학교신설 등 부서별 협업 불가피한 현안 산적
충남도교육청의 부서별 협의기구인 ‘정책협의회’가 3년여 만에 부활한다. 도교육청의 주요 현안들이 단일 부서만으로는 해결이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김지철 충남교육감은 29일 주간업무보고회의에서 “담당부서만으로는 주요 현안과 정책과제를 힘 있게 추진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코로나19, 학교신설과 통폐합 등 정책수행과 방향 결정에 부서장들의 경험과 집단지성이 큰 힘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유관부서가 아니더라도, 전에 유사한 업무를 봤던 부서장들의 지혜와 경험을 빌려주면 큰 힘이 될 것”이라며 “정책기획과가 중심이 되고, 부교육감과 부서장들이 상의해 부서간 소통과 공유, 정책협의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 같은 발언은 오는 4월부터 정례적으로 열릴 예정인 정책협의회를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과장급 이상 간부들이 참여하는 정책협의회는 2014년 하반기부터 3년여 동안 시행된 정책협의기구로, 매달 첫째 목요일 정례적으로 열려 부서별 협조를 구하거나 현안 사업 정보를 공유해 왔다.
특히, 마을교육공동체 사업 같은 교육청의 중장기적인 정책방향을 결정하거나 장기 비전을 발굴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하지만 정책협의회 운영이 장기화 되면서 모든 부서가 공유해야할 만큼 중대한 소재가 고갈된 상황이다. 일부에서 ‘회의를 위한 회의’라는 비효율성 지적마저 나오면서 유관부서만 소규모로 협의를 진행하는 방향으로 전환했다.
그러나 최근 학교신설 및 통폐합 관련 대규모 민원이 발생하고, 4차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교육혁신과 환경교육 등 도교육청의 핵심 현안 대부분에서 협업이 불가피한 상황을 맞으며 정책협의회 필요성이 다시 대두됐다.
도교육청은 3년 만에 부활하는 정책협의회를 부교육감 주재로 매달 정례적으로 개최할 방침이다. 다만 현안이 몰려있는 시기는 필요에 따라 추가로 개최하는 유동적인 학습공동체 협식으로 진행한다는 구상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아직은 구상단계지만, 도교육청의 현안이 복합적이고 부서별 협업이 필요한 사안이 많아 교육감이 특별히 소통과 협업을 강조한 것 같다”며 “기존에도 부서별 소규모 협의는 진행돼 왔던 만큼 크게 업무적 부담이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