民 전당대회 이후 복당 신청계획..“여러 가능성 대비”
일상 공유·공개활동 재개, 젊은 세대와 접점 '부각'
현 시정 불통행정 '간접' 비판.."실적 위주 행정 문제"
권선택 전 대전시장이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이후 복당 의사를 공식화했다. 차기 대전시장 출마를 염두한 정계 복귀라는 관측이 나온다.
권 전 시장은 30일 <디트뉴스>와 전화 인터뷰에서 “민주당 전당대회(8월 2일)가 끝나고 복당을 신청할 계획”이라며 “여러가지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지만, 대전시장 출마도 선택지 중 하나”라고 말했다.
복당 의미를 묻는 질문엔 “정치인의 색깔이 다시 입혀지는 것”이라며 “중앙에서 지방과 가교 역할을 할 수도 있고, 직접 출마할 수도 있다.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다”고 답했다.
지역 정치권에선 그의 출마가 사실상 기정사실화된 분위기다. 최근 페이스북을 신규로 개설해 일상을 공유하거나 지역모임에 참여하는 등 공개 활동을 늘리고 있다. 특히 AI로 만든 이모티콘을 소개하고, 지역 청년 전세사기 문제를 조명하는 등 젊은 세대와 접점을 넓히려는 시도가 두드러진다.
권 전 시장은 “젊은 사람들한테 묻고 배우고 있다. 최근 제미나이(구글 AI어플)를 사용했고, 어제는 AI를 이용해 작곡하는 방법을 배웠다”며 “젊은 세대와 소통하는 것을 좋아한다. 시장 재임 시절 청년 정책과 소통에 가장 힘을 쏟았다”고 강조했다.
시민사회 조례 폐지 겨냥.."행정, 보이지 않는 영역 챙겨야"
그는 현 대전시정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은 삼갔지만, 간접적인 지적은 피하지 않았다.
권 전 시장은 “일부러 정치 이슈에 대한 언급은 삼가고 있다. 지금보다는 시점이 무르익은 뒤 입장을 밝히겠다”면서도, 이장우 대전시장의 불통 행정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최근 이 시장은 시민사회 및 민간단체 지원에 관한 조례 3건 폐지안을 시의회에 제출했고, 시의회는 이를 원안가결했다.
권 전 시장은 이와 관련해 “대전NGO지원센터를 만든 당사자로서 꼭 (센터를) 폐쇄했어야 하는지 의문”이라며 “정책에는 긍정 혹은 부정적 측면이 있을 수 있지만, 행정이 ‘보여지는 것(실적)’ 위주로만 진행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행정은 복지, 문화, 공동체 등 보이지 않는 영역을 챙겨야 할 의무가 있고, (찬반이 엇갈리는 사안에 대해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공론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행정통합, 몇몇 행정가 합의로 될 문제 아냐"
이 시장이 적극 추진 중인 대전·충남 행정통합엔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그는 “행정통합은 법 제정이 필요한데, 현재 법안 국회 통과도 어려워 보이고 물리적인 시간도 부족하다”며 "몇몇 행정가들이 합의한다고 될 문제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행정통합 방향성을 두고선 “충북까지 아우르는 메가시티라는 큰 틀에서 행정통합이 논의돼야 하는데 순서가 잘못됐다”며 “또 세종시의 경우 특별한 지위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검토가 필요하다. (세종은) 꼭 통합하지 않더라도 느슨한 연합 형태로도 충분히 협력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끝으로 “정치 현안과 관련한 사안은 8월 이후 더 깊게 논의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 전 시장은 21대 대선에서 이재명 민주당 후보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정부혁신제도개선위원장을 맡았다. 또 지난해 복권되면서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박탈된 피선거권을 회복했다.
그는 두달 전 본지와 인터뷰에서 “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 명예를 회복하고 싶다”는 재개 의사는 전했지만, 구체적인 계획은 언급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