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지방세 납부액도 반토막 아래로 떨어져
시의회 산업위기 선제 대응지역 지정 촉구 건의문 채택

대산석유화학단지. 구글지도
석유화학 경기 침체로 대산석유화학단지가 내는 국세도 3분의 1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산석유화학단지. 구글지도

충남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에서 걷히는 국세가 3분의 1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서산시의회 안원기 의원(국민의힘, 석남동) 등에 따르면 지난해 대산석유화학단지의 내국세 납부 실적은 전년 대비 35% 이상 감소한 3조 2750억 원에 그쳤고, 지방세 역시 2023년 665억 원에서 2024년 291억 원으로 대폭 줄었다.

대산석유화학단지에는 11개 산단에 HD현대오일뱅크, 한화토탈에너지스, LG화학, 롯데케미칼, KCC 등 24개 기업이 위치해 있고, 대산 5개 사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 간 낸 국세만도 24조 3771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중심의 고부가 산업구조를 기반으로 수십 년간 국가 경제 성장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왔지만, 최근 몇 년전부터 글로벌 공급과잉, 환경규제, 국제 유가의 변동성 등으로 심각한 산업 위기 국면에 처했다.

서산시의회는 이날 본회의에서 안원기 의원이 대표발의한 '대산석유화학단지, 산업위기 선제 대응지역 지정 촉구 건의문'을 채택했다.

건의문을 통해 시의회는 "대산유화단지의 위기는 더 이상 지역적 문제가 아니라 충남도, 대한민국 석유화학산업 전체의 지속 가능성과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중대한 국가적 과업이며, 지금이야말로 정부의 선제적이고도 전략적인 정책 대응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시의회는 "대산단지는 산업 전환의 갈림길에서 기회의 플랫폼으로 도약할 잠재력을 갖추고 있어 정부의 신속하고 강력한 정책적 결단이야말로 이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시의회는 △조속한 정부의 대산석유화학단지를 산업위기 선제 대응지역 지정 △지정 후 금융지원과 세제 혜택, 기술개발, 규제특례 등을 포함한 종합 지원 패키지 가동 △대산유화단지의 친환경 전환 및 미래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 △산업부·환경부·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기업, 전문가, 지역사회를 아우르는 대산산업전환 민관합동 TF 즉시 구성 등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