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현안사업 외 행정통합 공약 반영 제안
대통령실 세종 이전? “대전과 경계에 짓자”

대전시청사 전경. 자료사진. 
대전시청사 전경. 자료사진. 

대전시가 조기대선 모드에 돌입한다. 호남고속도로 지하화, 대전교도소 이전 예타 면제, 혁신도시 2차 공공기관 이전 등 기존 현안 사업 외에도 대전·충남 행정통합, 대전·세종 경계 대통령실 이전 등을 요구할 방침이다.

다만, 행정통합은 아직 시·도 차원에서 주도적으로 논의하는 단계라는 점, 대통령실 이전은 같은 충청권 지자체인 세종과 갈등이 우려된다는 점에서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호남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은 낮은 경제성으로 추진 동력을 잃은 상태다.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예정지역은 호남고속도로 지선이 남북으로 지나면서 산업단지 예정지가 동·서로 분리된 모습이다. 자족형 신도시로 만들겠다는 시의 구상을 현실화 하려면, 지하화가 필수적이다.

수년째 표류 중인 대전교도소 이전 사업도 이번 대선 때 해법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노후·과밀 문제를 겪고 있는 교도소 이전안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으나, 예비타당성 조사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이밖에 ‘무늬만 혁신도시’ 오명을 벗는 일도 다음 정권 내 해소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특히 비수도권 지역 곳곳이 경쟁을 펼치고 있는 상황이어서 시가 선제적으로 실익을 얻어야 하는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

시는 빠른 시일 내 각 당에 공약화 사업 리스트를 전달할 계획이다. 현안 사업 외에도 현재 대전시와 충남도가 주도적으로 나서 추진 중인 행정통합도 제안하기로 했다. 세종과 대전 경계 지점에 대통령 집무실을 두는 안을 제안하는 방향도 검토 중이다.

이장우 시장은 14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땅을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 호남고속도로 지하화는 꼭 필요한 일이고, 대전교도소 이전 사업은 아직 정부가 예타 면제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를 안 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공공기관 2차 이전도 정치권에 요구해야 할 사안이다. 또 대통령실이 대전과 세종 경계에 들어서면 양 도시 발전에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대전, 충남 통합을 대선 공약에 반영해달라는 의견을 전달할 것”이라며 “광역연합만으론 충청이 핵심 기능을 하기 어렵다. 적극적으로 어드 당이든지 시가 먼저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