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대통령실 세종 이전 가능성 검토 지시
용산·청와대 재사용 '글쎄'..현실적 대안 반영 분석
'행정수도 명문화 개헌' 실현 여부에 관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통령실 세종 이전’ 가능성 검토를 지시한 것과 관련해 지역 정치권이 반색했다. 그동안 야권을 중심으로 대통령실 이전 목소리는 이어졌지만, 대선 유력주자인 이 대표가 세종을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민주당 홈페이지 갈무리 재편집. ⓒ황재돈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통령실 세종 이전’ 가능성 검토를 지시한 것과 관련해 지역 정치권이 반색했다. 그동안 야권을 중심으로 대통령실 이전 목소리는 이어졌지만, 대선 유력주자인 이 대표가 세종을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민주당 홈페이지 갈무리 재편집. ⓒ황재돈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통령실 세종 이전’ 가능성 검토를 지시한 것과 관련해 지역 정치권이 반색했다. 그동안 야권을 중심으로 대통령실 이전 목소리는 이어졌지만, 유력 대권 주자인 이 대표가 세종을 지목한 것은 처음이다.

특히 이 대표는 지난 대선 당시 ‘행정수도 명문화 개헌’ 추진을 공약으로 내걸었던 만큼, 향후 조기 대선이 현실화될 경우 ‘대통령실 세종 이전’ 이슈는 여야 정치권을 뜨겁게 달굴 것으로 보인다.

6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대표는 지난 달 28일 비공개 지도부 회의에서 ‘대통령실 세종 이전’ 가능성 여부를 검토해 달라고 지역구 의원에게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용산 대통령실은 ‘내란 소굴’ ‘내란 중심지’로 불리며, 차기 대통령이 누가되더라도 재사용에 부정적 시각이 팽배하다. ‘청와대 복귀설’도 거론되지만, 개방된 청와대 보안과 이미 국민에게 돌려준 것을 다시 찾아올 수 없다는 주장이 잇따르는 상황.

이 대표가 이 같은 지시를 한 배경에는 ‘세종 이전’이 현실적 대안이라는 인식이 반영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아울러 최근 비명계 인사를 연이어 만나며 이들의 목소리를 반영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달 27일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만나 행정수도 이전 등에 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역시 이 대표와 만나기 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다음 대통령은 당선 즉시 부처가 있는 세종에서 업무를 시작해야 한다”고 적었다. 

충청 야권 의원은 이 대표 지시 사항과 관련해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행정수도 명문화 개헌'은 이 대표의 지난 대선 공약이자, 당론이라는 이유에서 실현 가능성을 높이 평가했다. 

민주당 조직사무부총장인 황명선 의원(충남 논산·계룡·금산)은 이날 <디트뉴스24>와 통화에서 “이 대표는 지난 대선에서 공약도 했고, 자치분권 강화와 국가균형발전 의지를 가진 만큼 대통령실 세종 이전 의지도 갖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 의원은 또 “현재 당내에서 구체적으로 논의되는 것은 없다”면서도 “국회의사당 세종 이전과 대통령실 이전은 다음 정부에서 반드시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수현 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은 “장기적으로 국회를 세종으로 완전 이전하고, 행정수도를 완성한다는 것이 민주당 당론”이라며 “용산에 다시 갈수 없고, 국민께 돌려준 청와대를 되찾을 수도 없다. 당장 조기 대선이 치러지면 각 당 후보들은 ‘대통령실을 어떻게 할 것이냐’는 질문을 가장 먼저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의원은 이어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위원회에선 국회 세종 건립과 함께 대통령실 건축을 포함한 국가상징구역 설계 작업을 논의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