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분과 위원장 박충화전·양경모 선출
지역 국회의원 소통·협력 필요성 강조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 소통분과 첫 회의 모습. 대전시 제공.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 소통분과 첫 회의 모습. 대전시 제공.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가 내달 중 특별법(안) 마련을 앞두고 시·도민 공감대 확보 방안을 논의했다.

행정통합 민관협의체 소통분과는 25일 대전시청 세미나실에서 첫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대전시와 충남도 각각 위원장 선출이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하고, 대전은 박충화 위원, 충남은 양경모 위원을 민관협의체 소통분과 공동위원장으로 선임했다.

소통분과 위원은 총 7명이다. 대전은 ▲박충화 대전대학교 대외협력・경영부총장 ▲정명국 대전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 ▲권오철 중부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충남은 ▲박범인 금산군수 ▲김석곤 충남도의회 의원 ▲양경모 충남도의회 의원 ▲김원필 (사)한국청년네트워크 회장이다.

이날 회의에선 하혜수 전 대구·경북 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 공동대표(경북대학교 행정학부 교수)가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 과정의 시사점과 홍보 방안’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하 교수는 “시·도민 반대 여론이 높았던 2021년 1차 여론조사와는 달리 본격적인 공론화 활동 이후 진행된 지난해 여론조사에선 찬성률이 대구 68.5%, 경북 62.8%를 기록했다”며 “시·도민과의 밀접한 소통이 중요하다. 통합에 대한 명료한 도식화를 통해 시·도민 우려를 불식하고, 통합 당위성을 공유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연 이후 위원들은 대전·충남 시·도민 의견 수렴 과정 방향을 논의했다. 위원들은 통합의 긍정적 효과를 데이터화해 홍보하는 방안, 통합 이후 변화할 시·도민의 삶 등에 중점을 둔 공론화 절차 등을 제안했다.

소통분과는 향후 지역 국회의원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토론회·공청회 등을 국회와 함께 개최해 대전·충남 행정통합 당위성에 대한 공감을 넓힐 계획이다. 또 자치구·권역별 설명회, 기업인·과학인 등 유관기관·단체와의 간담회 등을 통해 의견 수렴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밖에 행정통합 필요성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영상·광고물 등을 제작해 홍보할 방침이다.

이창기 민관협의체 공동대표는 “지역구 국회의원, 여야정책위원회 등과 유기적인 협력이 필수적인 상황”이라며 “시·도와 협력해 국회와의 관계를 공고히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