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치권,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 언급 잇따라

국회세종의사당 건립과 맞물려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 이슈가 떠오르고 있다. 12·3비상계엄에 따른 조기 대선이 가시화되면서 여야 정치권에선 차기 대통령은 세종에서 집무를 시작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황재돈 기자. 
국회세종의사당 건립과 맞물려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 이슈가 떠오르고 있다. 12·3비상계엄에 따른 조기 대선이 가시화되면서 여야 정치권에선 차기 대통령은 세종에서 집무를 시작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황재돈 기자. 

국회세종의사당 건립과 맞물려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 이슈가 떠오르고 있다. 여야 정치권에선 차기 대통령은 세종에서 집무를 시작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향후 12·3비상계엄에 따른 조기 대선이 확정될 경우 대통령 집무실 세종 건립은 뜨거운 감자로 부상할 전망이다.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 언급은 14일 국회세종의사당건립위원회가 주최한 국회세종의사당 건립 관련 국회토론회장에서 잇따라 나왔다. 

먼저 김종민 의원(무소속·세종갑)은 이날 토론회 축사에서 “노무현의 꿈이 다시 부활할 수있도록 하는게 국회세종의사당 건립”이라며 “국회 상임위를 나눠서 국회를 운영하는 나라는 없다. 국회의사당 전체가 세종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고비를 넘으면 국민을 하나로 통하시키고, 대한민국이 K민주주의로 우뚝설 계기가 될 것”이라며 “민주적 권력, K민주주의 상징을 세종에 국회의사당과 대통령실로 만드는 역사가 세종의사당을 중심으로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김 의원은 지난해 7월 대통령 집무실 세종 설치를 강행규정으로 정하는 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윤석열 대통령 임기 종료에 맞춘 2027년 5월 9일까지 대통령집무실을 세종에 설치하는 법안이다. 

김 의원은 해당 법안을 설명하며 “조기대선으로 새로운 정부가 올해 들어선다면 새로운 정부 대통령은 세종에서 집무를 시작해야 한다”며 “새로운 민주적 권력의 상징을 전국 모든 지역과 2시간 안에 만날 수 있는 세종에서 다시 시작하자는 제안을 드린다. 꼭 노무현의 꿈을 이어달리기해서 만들어보자”고 제안했다. 

다른 충청권 의원도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을 언급했다. 다만, 대통령실 세종 이전이 지역 의제로 평가받는 것을 경계하는 모습도 보였다. 

박수현 의원(더불어민주당.공주·부여·청양)은 축사에서 “이 자리에 온 지역언론의 또 다른 관심이 하나 더 있다”며 “조만간 뜨거운 공론 이슈가 될 대통령실의 세종 완전 이전 등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 건립위원으로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준현 의원(민주당·세종을)은 “세종 국회의원이 국회의사당 등을 얘기하면 안된다. 지역의제로 전환되기 때문”이라며 “그러나 국회의사당 완전 이전하는 것과 향후 어떻게 될지 모르기에 대통령 집무실도 기왕이면 청와대 수준 만큼 (세종에)짓자”고 제안했다. 

14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국회세종의사당과 국민주권의 공간적 전개 토론회’에서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 이슈가 부각됐다. 황재돈 기자. 

수도권 국회의원도 국회 세종 완전 이전과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공감을 표했다.

국회지역균형발전포럼 공동대표를 맡은 김영배 의원(민주당·서울성북갑)은 “국회가 (세종으로)간다면 대통령이 근무하는 곳도 같은 곳이어야 한다는 생각”이라며 “대한민국 수도가 어디라는 것을 표시할 필요가 있다. 그런점에서 개헌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남은 것은 공감과 속도다. 국민적 공감이 우선이고, 하루빨리 약속한 일을 해내야 한다”며 “국회균형발전포럼 여야 45명 국회의원이 함께하겠다. 균형발전을 위해 서울 수도권에 있는 의원이 앞장서겠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약속했다. 

국민의힘 소속 최민호 세종시장은 “국정운영인 국회의사당이 세종시로 이전하는 만큼 또 하나가 시작돼야 한다. 대통령 집무실 건립”이라며 “진정한 지방시대가 세종에서 시작되면 정치와 행정, 입법 삼위일체가 열려야 한다는 대의를 실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