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구원 분리 절차, 내년 분가 예상   
행정통합 발맞춰 충남과 통합 검토 언급

대전세종연구원 입구 전경. 자료사진. 
대전세종연구원 입구 전경. 자료사진. 

대전과 세종 상생협력 의미로 출범한 ‘대전세종연구원’이 분가를 앞두고 있는 와중에 벌써부터 행정통합을 전제로 한 충남연구원과의 통합 검토설이 나왔다. 상생 명분을 이유로 연구원의 본질과 기능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용기 대전시의원(국민의힘, 대덕구3)은 22일 열린 시의회 제282회 정례회 행정자치위원회 소관 예산안 심의에서 운영비에서 차지하는 시 출연금 비중 등을 물은 후 “대전, 충남 통합 관련해 연구원의 역할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대전과 세종은 지난 2016년 상생 협력차 출연연구원을 함께 출범시켰다. 하지만 올해 세종시가 독립된 정책연구원 필요성을 절감하고 분원을 추진하면서 조례 제정 등 절차를 진행 중이다. 세종연구실을 대전에서 분리해 세종인재평생교육진흥원과 합병한 후 ‘세종미래인재정책연구원’으로 새롭게 발족하는 게 뼈대 내용이다.

김영진 대전세종연구원장은 “내년 4월 즈음 순조롭게 세종연구원이 분리되면 대전과 충남이 통합하는 방안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본다"며 "광주전남연구원은 통합 후 7년이 지난 지난해, 대구경북연구원도 지난해 분리됐다. 가능성을 보고 추진 방향을 보면서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지방자치단체 출연연구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지방연구원법)’에 따라 설립된 출연연구원은 올해 상반기 기준 23곳, 이중 광역지자체 연구원은 16곳이다. 지방연구원은 운영비 대부분을 출연금에 의존하는 구조다. 대전세종연구원 출연금 비중도 지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매년 약 77%대였다. 

통합과 분리가 상생이라는 명분에 따라 결정되면서 연구원 본연의 기능과 역할에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광주전남연구원은 지난 1991년 전남발전연구원으로 출범했으나 1995년 광주시가 출연하면서 광주전남발전연구원으로 통합됐다. 이후 2007년 광주발전연구원과 전남발전연구원으로 분리된 후 2015년 다시 상생 발전을 이유로 통합하는 변화를 겪었다.

김 원장은 이날 상임위 회의 직후 기자와 만나 “행정통합이 된다면 추후 연구원 간 통합을 검토해봐야 하지 않겠냐는 취지였다”며 “연구원이 먼저 통합을 검토·논의 하는 것이 아니라 원장으로서 준비는 해야할 것 같다는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