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 도의회 정례회 도정질문서 인구감소, 고령화 대책 등 촉구
김 지사, KBS 방송국 관련 “방송 출연차 대전 갈 때마다 자존심 상해”
[안성원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와 김명숙 도의원(더불어민주당·청양)이 14일 충남지역 인구감소와 고령화, 균형발전 등 지역소멸 극복 대안 필요성에 한목소리를 냈다. 소속 정당은 다르지만,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협치'를 모색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14일 제345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김 지사에게 지역소멸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물었다.
김 의원은 “행정안전부가 지정한 ‘인구감소지역’에 충남은 부여·청양을 비롯한 9개 시·군이 포함됐고, 인구소멸지수로 보면 5곳의 소멸고위험지역과 7곳의 위험지역이 포함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충남도 통계정보관에 따르면 오는 2040년에는 65세이상 고령화 인구가 전 도민의 36.6%를 차지하는 초고령화가 예측되고 있다.
김 의원은 인구감소지역 9개 시·군의 5개년 계획을 물으며 "각 시·군마다 처해있는 인구감소 상황과 타개책이 다를 것"이라며 "충남도는 각 시·군 상황을 파악하고, 전체적인 컨트롤타워로서 맞춤형 정책을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공공기관 이전과 관련해 “제1차 공공기관 이전에서 소외된 충남이 결실을 봐야 한다”며 제2차 공공기관 이전에 나서는 충남도 정책과 방향성을 물었다.
아울러 최근 전국 기초 지자체가 국회에서 인구감소 지역으로 공공기관 이전 배치를 요청했음을 강조하며, 충남도의 자체적인 기준과 이전 계획도 촉구했다.
김 의원은 KBS 지역방송국과 지방은행 설립에도 “충남에는 주요 지상파 방송국이 전무하다”며 “강원에는 3곳, 충북에도 2곳의 지역방송국이 있는데, 더 많은 수신료를 지불하는 충남만 없다는 건 지독한 불평등”이라며 김 지사에게 수신료 거부 운동을 제안했다.
“2022년 기준 지방은행들이 당기순이익의 최소 10% 이상인 200억 원 이상을 지역사회 공헌에 투자했다. 공공기관 이전, KBS를 비롯한 복합방송시설 건립, 지방은행 설립에 최선을 다해달라”고도 당부했다.
김명숙 “인구감소 시군, 2차 공공기관 이전 적극 대응”
김태흠 “적극 공감, 충남 특성 맞춤형 대책 발굴 추진”
김 지사는 김 의원 주장에 공감대를 나타냈다.
그는 먼저 2차 공공기관 이전과 관련해 “프로스포츠 드래프트제와 같이 제1차 공공기관 이전에 소외된 충남에 대형 기관 10곳을 우선 배치하는 방안을 정부에 요청했다”며 “이와 별개로 기존 공공기관의 충남·대전 분리를 통해 공공기관 이전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특히 김 의원의 KBS지역방송국 차별 지적에 “지난해 부여·청양 폭우, 올해 홍성 등 4개 시·군 산불 때도 비중 있게 보도되지 않았고, 도민들의 소외감을 공감한다. 충남지사로서 방송 출연 때문에 대전을 가는 것 자체가 자존심이 무척 상한다”고 동조했다.
계속해서 “이 자리에서 구체적으로 밝히진 못하지만, 지난해 12월 KBS사장과 만나 복합방송국 설립을 위한 로드맵을 강력 요구했고, 연말정도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
그는 다만 지방은행 설립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제 공약이었고, 민주당 도지사 후보 공약이었다"면서도 "전문가들은 자본금융의 대형화, 글로벌화 상황에서 지방은행 설립에 효과와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정부의 시중은행 과점체제 개선방안 검토 결과를 보며 신중하게 도의 입장을 정리하겠다”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