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시장 일행, 15일 워싱턴 D.C. 현지서 열린 교통 혁신 포럼 참가
대중교통 무료화, 대중교통 혁신 가치 공유 및 협력 체계 구축 나서
찰스 엘렌 워싱턴 D.C. 시의회 교통환경위원장, 의회 '법안 추진' 사례 제시
향후 양 도시간 '대중교통 정책' 교류 물꼬... 세종시, 본격적인 실행안 주목

찰스 엘렌 워싱턴 D.C. 시의회 교통환경위원장(좌측)과 버스 요금 무료화 등 대중교통 혁신 정책에 대해 이야기 가누고 있는 최민호 세종시장. 세종시 제공. 
찰스 엘렌 워싱턴 D.C. 시의회 교통환경위원장(좌측)과 버스 요금 무료화 등 대중교통 혁신 정책에 대해 이야기 가누고 있는 최민호 세종시장. 세종시 제공. 

[세종=디트뉴스 이희택 기자] 최민호 세종시장이 세종형 '대중교통 무료화' 정책 도입에 한 걸음 더 다가서고 있다. 

지난 9일부터 시작한 미국 순방 일정 6일 차인 14일(현지 시각) 수도 워싱턴 D.C.에서 미래 가능성을 엿봤다. 

최 시장은 이날 세계은행 및 세계자원연구소와 공동으로 교통 혁신 포럼(Transforming Transportation 2023)을 열고, 찰스 엘렌(Charles Allen) 워싱턴 D.C. 시의회 교통환경위원장과 면담도 가졌다. 

이 포럼은 공공·민간·학계·시민사회 등 전 세계 교통 분야 리더들이 한 자리에 모여 지속 가능한 교통발전 경험을 공유하고, 새로운 정책을 발굴하는 세계적인 학술대회다.

매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리며, 올해는 지난 14일부터 이날까지 전 세계 2000여명의 교통 분야 전문가가 참여한 가운데 ‘친환경‧통합적 교통체계를 향한 빠른 전진(Accelerating Toward Green And Inclusive Mobility)’을 주제로 진행되고 있다. 

최민호 시장은 이 자리에서 버스 요금 무료화 법안 발의 배경을 청취하는 한편, 양 도시간 협력 방안도 찾았다. 

찰스 엘렌 위원장은 “워싱턴 D.C.는 (버스 요금 무료화) 제도를 시행한 가장 큰 도시이자 미국 수도란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며 “최민호 시장이 저와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는 점에 정말 놀랐고, 적절한 시기에 세종시를 방문해 이에 대해 집중적인 논의를 하겠다”고 제안했다. 

이에 최 시장은 “교통은 단순한 지방의 문제가 아니다. 대중교통 혁신은 미래로 가야 할 가치이자 전 세계로 확산돼야할 의무이자 책임”이라며 “워싱턴 D.C.와 세종시가 대중교통 방향을 선도해 나가자. 앞으로 전 세계 도시 리더들이 한데 모여 이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회답했다.

그러면서 포럼 본행사에선 ‘통합적 교통체계를 위한 수요응답형 교통시스템’ 주제의 세션을 전 세계에 선보였다. 

여기에는 최 시장을 비롯한 오재학 한국교통연구원장, 박경아 한국교통연구원 본부장, 김수영 현대자동차 상무, 장민주 대외협력담당관, 쇼미크 라지 멘디라타(Shomik Raj Mehndiratta) 월드뱅크 매니저, 박 브라이언 버지니아대 교수가 참여했다. 

세종시는 이날 포럼에서 한국교통연구원 인사 등과 함께 ‘통합적 교통체계를 위한 수요응답형 교통시스템’ 주제의 세션을 선보였다. 
세종시는 이날 포럼에서 한국교통연구원 인사 등과 함께 ‘통합적 교통체계를 위한 수요응답형 교통시스템’ 주제의 세션을 선보였다. 

주요 사례로는 ▲셔클(도심형 수요응답형 버스) ▲두루타(농촌형 수요응답형 버스) ▲누리콜(교통약자형 콜택시) 등 수요응답형 교통(DRT‧Demand Responsive Transport) 운영안이 소개됐다.  

두루타가 교통복지 실현과 대중교통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주관 '균형발전 사업' 우수사례로 선정된 사실도 알렸다. 

최민호 시장은 “세종시는 간선급행버스체계(BRT)와 증강현실(AR) 버스 정류장, 셔클, 어울링 등 공공 교통의 미래에 적합한 다양한 교통수단을 운영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미래 스마트 모빌리티를 선도하는 도시로 나아가겠다. 개발도상국에는 정책을 전수하는 한편, 전 세계 교통 관련 관계자들과 국제 네트워크를 강화하겠다”는 비전을 내보였다.

향후 세종시는 최근 마무리된 '대중교통 무료화 용역'과 이번 순방 결과를 토대로 2025년 전면 도입 여부를 타진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