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월 중 구매 한도 30→40만 원, 캐시백 5→7% 올리기로
올 초 줄어든 여민전 판매액 확대 및 역외 소비 감소, 대전시민 유입 소비 기대
천안은 캐시백 10%에 구매 한도 30→80만 원... 중산층 사각지대 지원 효과

최민호 시장이 1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이와 관련한 진행 사항을 설명하고 있다. 세종시 제공. 
최민호 시장이 1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이와 관련한 진행 사항을 설명하고 있다. 세종시 제공. 

[세종=디트뉴스 이희택 기자] 공공요금 폭탄으로 우울한 세종시 각 가정과 소상공인. 

지역화폐 '여민전' 구매 한도와 캐시백 상향이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일부 보탬을 줄 것이란 기대를 모으고 있다. 

1일 시에 따르면 여민전 구매 한도는 오는 3월 전·후 현행 30만 원에서 40만 원으로 10만 원 확대되고, 캐시백도 5%에서 7%로 2%p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관건은 행정안전부의 최종 정책 결정 시기와 국비 책정 규모.

이달 중 국비 규모가 확정되는데, 최소 7% 캐시백을 적용하는 광역자치단체로 한정한다는 전제조건이 있다. 시는 이 방침에 따라 5% 지방비, 2% 국비 분담으로 '7%' 적용을 계획하고 있다. 

올 초 캐시백이 10%에서 5%로 줄면서, 덩달아 여민전 총 판매액도 줄어든 상황에서 희소식으로 다가온다. 실제 총 판매액은 지난해 12월 265억 원에서 지난 달 242억 원으로 23억 원 줄었다. 

시는 구매 한도액과 캐시백 상향으로 인해 '조기 판매 현상'이나 '재정난 가중'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역화폐 정책을 폐지한 대전시민들의 세종시 구매 욕구도 올라갈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과거 대전시민의 여민전 구매 비중은 약 5% 선인 것으로 조사됐다.  

최민호 시장은 "세종시는 역외 자금 유출 방지를 위해서도 여민전 유지가 필요했다"며 "이번 정부 배정액은 모두 캐시백에 넣어 민생 경제에 보탬을 드리려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세종시의 이 같은 정책 흐름을 놓고 아쉬운 목소리도 흘러 나온다. 보다 과감한 중산층 지원 대책을 '캐시백'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공공요금 폭탄의 사각지대에 놓인 중산층 대책을 '캐시백 제도'로 보완한 천안시 사례가 눈길을 끌고 있다. 

천안시는 2월에 한해 구매 한도액을 30만 원에서 80만 원으로 늘려 가구당 5만 원의 지원 효과를 가져올 예정이다. 캐시백은 10%로 동일하다. 

여민전 카드 예시. 세종시 제공. 
여민전 카드 예시. 세종시 제공.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