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박란희 의원, 15일 시의회 본회의 5분 발언 통해 지적
정책특별보좌관, 미래 전략 자문단 등 고령층 남성 참모 대부분
시민 참여 방안 부재... 최 시장 지지율 5개월째 답보 배경 지적도 나와
[세종=디트뉴스 이희택 기자] 최민호 세종시장 취임 후 5개월째 지지율이 답보 상태를 면치 못하면서, 민선 4대 시 정부의 참모진 인선을 둘러싼 문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 같은 주장은 15일 제79회 정례회 4차 본회의에서 야당 의원에 의해 불거졌다.
더불어민주당 박란희(다정동) 의원은 이날 5분 발언을 통해 "세종시는 조직문화 혁신 기본 계획을 시작으로 혁신추진단을 구성하고 산하기관 8곳에 대한 혁신대책을 수립하는 등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시민이 주인되는 세종시정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며 운을 뗐다.
그러면서 정책특별보좌관 9명 임명(8월)과 미래 전략 전문가 자문단 구성(9월), 세종시 홍보대사로 문화예술인 6명 임명(11월) 등 지난 인선 과정부터 되짚었다.
그는 "선정된 한분 한분은 각 분야 전문가로 존경할 만하고 존중되어야 하지만 전체적인 구성 비율로 볼 때 특정 연령대와 성별에 치우친 인적 구성에 과연 시민들이 공감하고 납득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근거 지표로는 ▲정책특별보좌관 8명 모두 남성, 7명이 60세 이상 ▲미래전략 전문가 자문단 22명 중 20명 남성, 60세 이상 11명, 50~59세 7명, 40대 이하 청년 부재 ▲세종시 홍보대사 6명 중 4명이 70대 전· 연령대 등을 제시했다.
박 의원은 "이 같은 (외형적) 지표만 봐도, 다양한 시민 계층의 목소리를 통한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정책 구현에 대한 집행부 의지에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며 "앞으로 다양한 연령과 성별을 가진 시민과 전문가들이 세종시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달라"고 촉구했다.
인사 청문제에 이어지는 배심원 제도 등 시민 참여 확대 방안도 추가 제안했다.
전임 이춘희 시 정부를 거쳐 지난 7월 77회 임시회에서 다시 제기된 '인사청문제' 도입, 제78회 정례회에서 언급된 보은 인사 혁신 요청 등도 함께 요구했다.
그는 "인사는 자치단체장의 고유 권한이나 세종시만 유독 인사청문제도를 도입하지 않고 있다. 인사위원회를 통한 임명이란 원론적 답변만 있을 뿐"이라며 "인천과 대전, 경기는 단체장이 먼저 인사청문제 도입을 제안했고, 제주의 경우 공공기관장과 감사위원장, 별정직 부지사, 행정부시장까지 인사청문회를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야당(민주당)을 떠나 여당(국힘) 일각과 집행부 안팎에서도 이 같은 의견이 꾸준히 제기됐던 만큼, 향후 최 시장과 시 집행부가 어떤 움직임을 보일 지 주목된다.
실제 임기 4년간 최 시장의 비전과 공약 실행을 뒷받침할 참모진 부재가 지지율 정체 상태를 가져오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리얼미터가 공표한 지지율 추이를 보면, 최 시장은 6.2 지방선거에서 52.8% 지지율로 당선된 뒤 7월 42.2%(17위), 8월 43.8%(16위), 9월 43.9%(17위), 10월 44.8%(17위)까지 반등 국면을 맞이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달 광역단체장 지지율 순위는 14위로 올라섰으나 전월 대비로는 0.1%p 하락했다. 순위 역시 이태원 참사 파장에 따라 오세훈 서울시장(17위)과 유정복 인천시장(43.9%), 이장우 대전시장(44.6%) 등의 급락으로 올라섰다.
사실상 5개월째 지지율 답보 상황을 극복하지 못한 모습이다.
시민사회의 한 관계자는 "국민의힘이 8년 만에 지방 권력을 교체하면서, 자·타천 선거 공신 등에 대한 '보은·정실' 인사가 불가피했다는 현실론이 있다"며 "공약 실행 드라이브가 본격화될 내년 하반기 즈음부터 인재 등용 흐름이 바뀔 수 있을 것"이란 시각을 내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