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우주정책 전략 수립 용역 보고회
우주청 대전 입지 타당성 설득 지속
[한지혜 기자] 대전시와 우주전문가들이 새 정부 우주청 경남 설립 공약 기조에 다시 제동을 걸었다. 연구용역을 통해 우주청 기능 극대화, 효율성 확보 등을 위한 최적지가 대전임을 재차 설득했다.
시는 19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김명수 시 과학부시장, 관계공무원, 우주정책 전문가 등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우주정책 전략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회는 국내 우주정책 추진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우주청 입지 분석 등을 통해 우주청 설립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개최됐다.
이날 대전세종연구원 양준석 연구위원은 “우주와 항공은 기술적으로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으나, 산업적인 특징에서 이질성이 커 통합할 경우 일관된 정책 추진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며 “조직형태는 국가우주개발정책의 산업화와 다부처 조정기능 강화 취지를 위해 청(廳)단위 조직으로도 바람직하나, 대통령 또는 국무총리 소속으로 설립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양 연구위원은 5가지 이유를 들어 대전이 우주청 입지 최적지임을 역설했다. 그는 “대전은 우주관련 정부부처, 연구기관, 교육기관, 기업 간 원활한 협업이 가능한 전략적 위치”라며 “우주 관련 64개 기업이 위치해 산업 혁신생태계 조성이 준비됐고, 국방 관련 기관이 밀집돼 우주 국방산업 발달의 최적지”라고 말했다.
이날 보고회를 주재한 김명수 시 과학부시장은 “우주청은 후발주자인 우리나라가 해외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빠르게 좁히고, 우주강국으로의 부상하기 위해 국가 우주정책을 종합적이고 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콘트롤타워로 설립돼야 한다”며 “전문가들과의 심도 있는 논의와 교감을 통해 바람직한 우주 거버넌스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이번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계, 정치권 등과 공조, 공약이 재고될 수 있도록 역량을 결집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황운하 “尹 정부, 우주청 경남 입지 반드시 재고해야”
- 김병준 ‘우주청 이슈’에 “예민한 문제라 답변 어려워”
- 충청권 경제계, 항공우주청 경남 설립 발표에 ‘허탈·상실’
- 우주청, 지방선거 핫이슈로...대전 정치·과학계, 입지선정 반발
- ‘우주청 경남입지’...허태정·이장우 ‘초반 승부처’ 부상
- "대전이 우주청 설립 최적지" 당위성 마련
- 민주당 대전시당 “우주청, 국가전략 차원에서 추진돼야”
- 허태정 “우주청·경찰청, 대전 와야” 청 단위 집적 강조
- 끝나지 않은 우주청 유치...대전시 “인수위 건의할 것”
- [사설] 우주청 대전입지, 꺼진 불씨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