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정부론’ 카드로 중도층 표심 얻기 ‘가속화’
대선 D-7일, 정치개혁 연대로 막판 판세 흔들기
[류재민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김동연 새로운물결 후보와 정치개혁을 위한 ‘연대’에 성공했다. 정의당 심상정·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까지 ‘통합정부론’에 관심을 보이면서 일주일 앞둔 20대 대선에 판세 변화가 예상된다.
김동연 후보는 2일 오전 10시 캠프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후보직 사퇴’와 ‘이재명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이 후보와 합의한 ‘정치교체를 위한 공동선언’ 후속 성격이다. 두 후보는 지난 1일 서울 마포의 한 카페에서 만나 권력 구조 개편과 정치개혁 연대에 뜻을 모았다.
이·김 ‘임기 1년 단축·개헌’ 등 합의
김동연 ‘후보직 사퇴·이재명 지지’ 선언
제3지대 자극 동시에 중도층 표심 ‘공략’
합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 ▲헌법 개정안에 대한 국민적 합의 도출을 위한 별도 기구 설치 ▲새 정부 출범 1년 내 ‘제7공화국 개헌안’ 성안 ▲개헌안에 분권형 대통령제, 책임총리, 실질적인 삼권분립 보장 ▲20대 대통령 임기 1년 단축해 2026년 대선과 지방선거 동시 실시.
또 취임 전 ▲연동형 비례대표제 등 선거제도 개혁 ▲국회의원 면책특권 폐지 ▲국민소환제 도입 ▲국회의원 3선 초과 연임금지 등을 위한 법안을 국회에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김 후보 지지 선언에 동력을 얻은 이 후보는 제3지대를 자극하는 한편, 선거 막판 부동층과 중도층 표심 끌어안기에 공들일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과 이 후보는 김종인 전 국민의힘 총괄선대위원장,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 등 범보수 진영 인사들과 잇달아 접촉하며 ‘정치교체’ 연대를 추진해왔다. 심상정·안철수 후보도 이 후보의 ‘국민통합정부’에 공감하면서 정치교체론이 탄력을 받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앞서 안철수 후보는 지난 25일 TV토론에서 민주당의 정치개혁안을 언급하며 “제가 그 당 내부 사정을 비교적 잘 아는 편인데, 과연 의원총회를 통과할 것인가가 ‘키(열쇠)’”라며 “진정성이 있다면 (선거가) 얼마 안 남았지만, 의총에서 얼마든지 통과시킬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물었다.
이에 이 후보는 “당론으로 확정해 의원총회에서 결정될 수 있도록 보여드리겠다”고 했고, 민주당은 지난 27일 의총에서 정치개혁안을 당론으로 채택하며 안 후보에 화답했다.
김종민 “李, 安과 직간접적 대화..단일화 떠나 같은 목소리 내자”
김종민 민주당 의원(충남 논산·계룡·금산)은 지난 1일 오후 CBS라디오에 출연해 “이재명 후보와 안철수 후보가 직간접적으로 대화를 나눴다고 본다. 단일화 얘기를 떠나 누가 대통령이 되든, 대한민국이 어떻게 가야 한다는 같은 목소리를 내자(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안철수 후보가 얘기해 왔던 국민통합정부, 국민 내각, 여야정 안보협의체를 민주당과 이재명 후보가 단일화를 떠나 같이하겠다, 내가 되면 그거 하겠다, 누가 돼도 이거 하자. 이런 가치의 단일화, 정책의 단일화를 우리가 시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尹 “집에 갈 사람들이 무슨 국민 통합이냐”
‘정치교체론’ 맞서 ‘정권교체론’ 정공법 돌파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반윤(反 윤석열)연대’가 형성되면서 고립 위기에 몰렸다. 안 후보와 단일화가 사실상 무산됐고, 이 후보의 통합정부론이 힘을 받고 있기 때문.
윤 후보는 민주당과 이 후보의 정치개혁안을 ‘선거용’이라고 일축했다. 동시에 “정권교체론’ 정공법으로 지지층 결집을 꾀하는 모양새다.
윤 후보는 1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에서 경선 상대였던 홍준표 선거대책본부 상임고문, 유승민 전 의원, 원희룡 정책본부장과 첫 ‘원팀 유세’를 펼쳤다.
윤 후보는 이날 유세에서 “국민 통합 아무나 하나. 썩고 부패한 사람이 통합하자면 누가 거기에 호응하겠나. 집에 갈 준비해야 할 사람들이 무슨 국민 통합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 후보는 또 “정권교체가 정치개혁”이라며 “저 같은 정치 신인이 이 나라의 정부를 맡게 되는 것이 엄청난 정치개혁 아니냐”며 지지를 호소했다.
한편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일 오후 8시부터 서울 여의도 KBS 본관에서 마지막 대선 후보 TV토론(사회 분야)을 개최한다. 대선 후보 4명은 이날 토론이 사전투표(오는 4~5일) 전 중도·부동층을 공략할 마지막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공개 일정을 잡지 않은 채 토론 준비에 집중할 예정이다.